'전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로 소득 상하위 20% 가구 간 격차를 보여주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이 올해 3분기에 역대 가장 좋은 기록을 세웠다.
다만 올해 추석 연휴가 지난해와 달리 4분기로 옮겨가면서 관련 지출이 줄어, 기대했던 소비 증대 효과는 4분기에 확인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데이터처가 27일 발표한 '2025년 3/4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43만 9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3.5% 증가해, 9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 기준으로는 1.5% 증가했는데, 직전 분기에 0.0%로 5분기만에 제자리걸음을 했던 것에 비하면 개선된 셈이다.
정기적인 소득을 뜻하는 경상소득은 533만 2천 원으로 3.5% 증가했다. 이 가운데 근로소득은 336만 7천 원, 사업소득은 98만 9천 원으로 각각 1.1%, 0.2% 증가에 그친 반면, 이전소득은 92만 3천 원으로 17.7%나 증가했다.
특히 가족, 친척에게 받는 사적이전소득은 29.5% 감소한 반면, 정부·지자체 등 공공기관에서 받는 연금, 세금 환급금 등 공적이전소득이 40.4%나 급증했다. 이는 이번 3분기 소득 통계에 '전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분이 포함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경조소득, 보험금 수령액 등 일시적 수입인 비경상소득은 10만 7천 원으로 4.6% 증가했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4만 4천 원으로 1.3% 증가했다. 비록 0.8%에 그쳤던 전분기보다 증가폭은 다소 늘었지만, 내수 침체 속에 최근 5분기 연속으로 소득 증가율보다 소비지출 증가율이 더 낮았다.
특히 실질소비지출은 0.7% 감소해 3분기 연속 감소 행진이 계속됐다. 국가데이터처 서지현 가계수지동향과장은 "보통 3분기에 추석이 있는데, (올해는) 다음 분기로 넘어가면서 추석에 지출해야 됐던 것들이 조금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지출 내용을 비목별로 보면, 기타상품·서비스(6.1%)와 교통·운송(4.4%), 음식·숙박(4.1%)에서 주로 지출이 증가한 반면, 교육(-6.3%)과 오락·문화(-6.1%), 가정용품·가사서비스(-1.9%), 식료품·비주류음료(-1.2%)에서 감소폭이 컸다.
서 과장은 "교육 지출에서 2023년과 2024년이 조금 높은 수준이었던 기저효과 영향이 있다"며 "오락·문화는 단체 및 국외여행비에서 주로 감소했는데 추석 연휴가 이동한 영향이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개인이 실제로 소비나 저축에 쓴 것이 아닌, 세금이나 사회보험 등을 뜻하는 비소비지출은 105만 8천 원으로 0.9% 감소했다. 가구간이전지출(-19.1%), 연금기여금(-0.7%) 등에서 주로 지출이 줄었다.
이처럼 씀씀이를 줄이면서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38만 1천 원으로 4.6%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43만 7천 원으로 12.2%나 증가했고, 흑자율도 32.8%로 2.2%p 올랐다.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이 차지한 비중을 보여주는 평균소비성향도 67.2%로 2.2%p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은 지난해 2분기까지는 7분기 연속 증가했지만, 이후 5분기 연속 하락세다.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31만 3천 원으로 11.0%나 증가했다. 반면 가장 소득이 높은 5분위 가구의 소득은 1158만 4천 원으로 0.4% 증가에 그쳤다. 이 외에도 2분위(7.1%), 3분위(5.8%), 4분위(4.4%) 순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소득 증가폭이 컸다.
이 역시 각 분위마다 이전소득이 소득 증가세를 주도했는데, 1분위에선 28.7% 증가한 반면 소득이 증가할수록 공적이전소득의 증가폭이 커서 5분위는 69.0%에 달했다. 이는 1인 가구가 많은 1분위에서 5분위로 갈수록 가구원 수가 많아 소비쿠폰을 더 많이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서 과장은 "전 분위에서 소득이 늘어난 것은 공적이전소득의 영향이 가장 크다"며, 1분위에서 5분위로 갈수록 소득 증가폭이 낮았던 것도 "5분위는 소득이 많기 때문에 (금액이 같은 소비쿠폰은)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라고 소비쿠폰 효과를 설명했다.
경상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을 가구원 수에 따라 조정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5분위계층의 평균소득을 1분위계층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07배를 기록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숫자가 높을수록 빈부격차가 커졌다는 뜻으로, 지난해(5.69배)보다 크게 개선됐다.
5분위 배율이 5.1배 아래로 떨어진 일은 3분기 기준으로는 현재 기준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가장 낮은 기록으로, 다른 분기까지 포함하면 2020년 2분기(5.03배) 이후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