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피부세포를 중간 과정 없이 바로 혈관내피세포로 탈바꿈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보건복지부는 선도형 세포치료 연구사업단 소속인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김효수·한정규 교수팀이 피부세포를 직접 혈관내피세포로 이형 분화시킬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실험용 생쥐의 피부에서 섬유모세포를 분리해 혈관내피세포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11개 유전자를 과발현 시킨 다음에 이 중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타이투 수용체(Tie2)를 발견, 가장 효과적으로 Tie2 발현을 유도하는 5개 유전자 조합을 찾아냈다.
5개 유전자가 과발현된 피부섬유모세포는 혈관내피세포와 유사한 형태로 모양이 변했다. 연구팀은 이를 유도혈관내피세포(iEC)라고 명명했다.
연구팀은 유도혈관내피세포의 유전학적, 후성유전학적 특징이 섬유모세포와 달리 실제 혈관내피세포와 유사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세계적으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를 위해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목표세포를 분화시키는 연구가 진행됐지만 윤리적·기술적 한계가 있어 실용화돼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신경세포, 간세포를 각각 섬유모세포로부터 직접 만들어내려는 연구가 지속됐고, 관련 연구성과에 관심이 집중된 상황에서 피부섬유모세포를 직접 혈관내피세포로 탈바꿈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규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효수 교수는 "손쉽게 얻을 수 있는 피부세포로부터 다량의 순수한 혈관세포를 바로 만들어냄으로써 혈관재생 치료법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지난 5일 심혈관생물학 분야 최고의 권위지인 'Circulation'에 "Direct Conversion of Adult Skin Fibroblasts to Endothelial Cells by Defined Factors"라는 제목으로 학술지 사설과 함께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