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제공산업통상자원부가 28일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16개 지방자치단체 및 6개 경제자유구역청과 코트라 그리고 산업단지공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지방 외국인투자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정책협의회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미·중 무역 갈등 등 급격한 대내외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외국인투자 확대 전략과 국내복귀(유턴)기업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부는 "지난해 346억 달러(신고 기준)의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고, 올해 1분기에는 64억 달러를 유치하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견조한 외국인투자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성과는 각 지자체와 경제자유구역청의 적극적인 투자 유치 활동과 정주 여건 개선, 산업단지공단 등 관계기관의 산업기반 강화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산업부는 평가했다.
이어 산업부는 '2025년 경제정책방향'과 '외국인투자촉진 시책'에 따라 외국인투자기업 지원과 투자환경 개선을 지속 추진하는 한편, 상호관세 영향 분석과 업계·전문가 의견수렴, 연구용역 등을 통해 변화된 통상환경에 적합한 투자 촉진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또한, 미국의 고율 관세 적용 발표와 글로벌 리쇼어링 흐름 등에 따라 국내로 복귀하는 유턴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산업부는 각 지자체에 유턴기업에 적합한 부지와 인프라 및 고용환경을 마련하는 등 기업 맞춤형 지원책을 발굴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급격한 통상환경 변화 속에서도 외국인투자 확대와 유턴기업 유치는 국가 산업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력 유지의 핵심"이라며 "지자체 및 경제자유구역청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외국인투자 및 유턴기업 유치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