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중국에 파견된 북한의 정보기술(IT) 기술자가 중국 군사기술을 탈취하려다 적발돼 중국 공안당국에 체포·구금 당하는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연합뉴스는 대북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노동당 군수공업부 산하 조직이 중국 선양으로 파견한 IT 기술자 A씨가 지난달 노트북 PC를 소지한 채 현지 숙소를 이탈해 잠적했다가 중국 공안에 체포·구금됐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공안의 수사 과정에서 A씨의 노트북에서 중국 무기 등 군수 기술을 해킹한 정보가 다수 발견됐고, A씨는 중국 군사기술 정보 탈취행위를 모두 자백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소식통은 "A씨가 검거된 사실을 인지한 북한은 같은 장소에서 활동한 IT 인력 전원을 긴급하게 북한으로 복귀시킨 것으로 안다"며 "북한이 중국을 상대로 한 정보수집 활동이 노출될 것을 우려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A씨를 중국에 파견한 군수공업부는 노동당의 군수공업 정책을 집행하는 기관으로, 핵·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등 주요 국방사업 전반을 담당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대상이다.
한미 당국의 수사에서도 군수공업부가 온라인에서 외화벌이나 방산 기술을 탈취하는 IT 인력 조직을 운영하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한국 외교부가 지난해 말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313총국'도 군수공업부 산하 기관이다.
대북 소식통은 "재중 북한 IT 기술자들의 동향을 잘 아는 탈북 인사들에 따르면 군수공업부가 최근 사이버 활동을 강화하며 외화벌이 뿐만 아니라 무기 개발에 필요한 정보 수집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공안에 붙잡힌 IT 인력의 해킹 정보도 무인기 관련 내용으로 추정된다"면서 "이번 사건은 북한이 군사력 강화를 위해 해킹 공격 범위를 중국으로까지 확대한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사건과 관련된 질문에 "강조하고 싶은 것은 중조(중국과 북한)는 우호적 이웃 국가로, 우리는 조선(북한)과 정상적인 교류·협력과 인적 왕래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답변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