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숏폼'은 '한 뼘 영상'…우리말 다시 쓰기에 학생 3824명 참여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울산교육청, 5월 7일~22일 '상반기 우리말 다시 쓰기'
초등학생 참여 확대…공모작 심사 거쳐 총 85명 수상

울산시교육청은 지 5월 7일부터 22일까지 '상반기 우리말 다시 쓰기'를 진행했다. 학생들이 제안한 다시 쓴 우리말. 울산광역시교육청 제공울산시교육청은 지 5월 7일부터 22일까지 '상반기 우리말 다시 쓰기'를 진행했다. 학생들이 제안한 다시 쓴 우리말. 울산광역시교육청 제공
울산광역시교육청이 추진하고 있는 우리말 다시 쓰기에 초중고 학생 3824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5년째인 우리말 다시 쓰기에 가장 많은 학생들이 참여한 것.

울산시교육청은 지난달 7일부터 22일까지 '상반기 우리말 다시 쓰기'를 진행한 결과, 초중고 학생 3824명이 참여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1876명보다 1948명이 늘어난 수치다. 올해는 참여 대상을 초등학생까지 확대했다.

학생들은 총 10개의 제시어에 대해 순우리말로 바꿔 쓰기를 제안했다.

'꿀팁(꿀+tip)'은 '알짜 정보, 알찬 정보', '숏폼(short form)'은 '한 뼘 영상, 찰나 보기', '스포(spoiler)'는 '미리 알림, 내용 귀띔', '트라우마(trauma)'는 '마음 멍, 마음 흉터', '팩폭(fact+폭력)'은 '따끔 말, 찌름 말' 등이다.

울산시교육청은 공모작 심사를 거쳐 총 85명에게 으뜸상(20명), 버금상(25명), 딸림상(40명)을 수여했다.

울산시교육청은 학생들이 바꾼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홍보할 계획이다.
 
울산시교육청은 올해로 5년째 '우리말 다시 쓰기' 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또 정책 홍보에도 외래어나 외국어 대신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로 바꿔쓰고 있다.
 
울산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생들이 외솔 최현배 선생의 바른 말·글·얼 정신을 잇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겠다"라고 말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