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 이재명 대통령. 류영주 기자이재명 대통령의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지원 공약에 따라 전북자치도가 관련 특별법 제정을 본격 추진한다. 다만 유치 확정 전 특별법 제정은 전례가 없어 정부와 국회 차원의 결심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북도는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지원 관련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국정 과제에 채택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4일 밝혔다. 광역자치단체의 역량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국가 차원의 지원과 법률적 뒷받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법이 제정되면 정부 차원의 '유치지원위원회'를 통한 공식 지원이 가능해진다. 유치지원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고 장관급 인사 등 수십 명으로 구성된다. 기업 총수들 또한 참여할 수 있다.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이 더욱 원활해진다.
또 이 법으로 경기장과 시설 설치를 위한 인허가권과 각종 특례도 받을 수 있으며, 국민 참여와 문화 의식 고취를 위한 민간 추진 운동도 지원할 수 있다.
지난 1월 전북 전주월드컵경기장. 대한체육회 현장평가단을 환영하는 인파. 전북도 제공다만, 범정부 차원의 협조가 없으면 특별법 제정은 어렵다. 평창올림픽의 경우 2011년 7월 유치 성공 후인 2012년 1월에 특별법이 제정됐다. 유치 확정 이후 법 제정이 일반적이어서 전주 올림픽 특별법 제정은 선례가 없는 도전이다.
전북도는 특별법 제정이 어려울 경우를 대비해 민관합동 유치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도지사와 재계 인사를 공동 위원장으로 하고 정·재계, 체육계, 학계가 참여하는 범국민적 조직을 만들어 유치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특별법 제정이 쉽지 않지만, 지역구 의원들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의원들에게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며 "새 정부는 (특별법 제정에) 우호적일 것으로 기대하고, 국정 과제로 채택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