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이재명 정부 공직후보자 국민검증센터 단장을 맡은 유상범 의원 등 소속 의원들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이재명 정부 공직후보자 국민검증센터 현판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윤창원 기자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 후보자 17명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줄줄이 예정된 가운데 국민의힘은 8일 현미경 검증을 예고하며 '이재명 정부 인사참사 국민검증단'을 꾸렸다. 아직 세간에 알려지지 않은 의혹들까지 파헤치겠다며, 온라인 제보센터도 개설했다. 후보자들이 자료 요청에 불응할 경우 형사고발도 불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낙제 총리' 김민석 국무총리 임명을 강행한 데 이어 각 부처 장관 후보자들 역시 하나같이 의혹투성이"라며 "본격적인 청문회 시작 전 드러난 비리·불법 의혹만으로도 국민의 분노가 이미 임계점을 넘겼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해 충돌을 초래한 주식거래, 농지법 위반 의혹, 논문 재탕·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증여세 탈루, 겹치기 월급, 부동산 투기 등 후보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마치 이재명 정부 내각은 범죄종합선물세트가 아닌지 의심스러울 지경"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통령의 인사 기준을 두고는 "국민이 아닌 피의자 눈높이로 설정된 것이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앞선
김 총리 청문회를 '침대 청문회'라 지칭하며 이 같은 상황이 재현돼선 안 된다고도 주장했다. 김 총리 측 자료 미제출에 항의한 국민의힘이 청문회를 보이콧했음에도 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이 임명을 밀어붙인 점을 겨냥한 것이다.
송 위원장은 "후보자는 자료 제출을 거부하고 해명은 모르쇠로 일관하고, 인사청문회에서 이야기하겠다면서 청문회 하루만 뭉개고 버티면 된다는 식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우리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의 오만과 독주를 좌시하지 않겠다. 국민 눈높이에서 낱낱이 검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상범 원내운영수석부대표 또한 "자료제출에는 묵묵부답, 해명 요구엔 시간 끌기로 (가는 양상이) 김 총리 청문회 당시와 판박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 같은 행태는 단순한 비협조가 아니라 명백한 불법으로 법률 위반에 해당한다. 청문회법 19조에 따라 국회증언감정법이 준용되며, 개인정보나 사생활을 이유로 한 자료제출 거부는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 수석부대표는
"국민의힘은 자료 제출을 거부하고 법을 우롱하는 후보자에 대해 반드시 고발조치에 착수할 것"이라며 "형식적 청문회를 악용한 무도한 인사농단을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이재명 정부 공직후보자 국민검증센터 현판식에서 검증센터 단장을 맡은 유상범 의원이 발언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지도부는 회의 직후 국회 본관에서
'이재명 정부 공직후보자 국민검증센터' 현판식도 열었다.
아울러 당 홈페이지에 이날 오전 9시부터 '국민검증 제보센터' 페이지를 마련했다. 국민의힘 측은
"논문 표절·허위 근무·전관 예우·부동산 불법증여 등 각종 의혹에 대한 국민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린다. 국민의힘이 국민의 대변인이 되겠다"며 장관 후보자들 관련 활발한 제보를 당부했다.
센터 단장인 유상범 수석부대표와 소관 상임위 소속 간사 16명 등 총 17명이 '송곳 검증'에 나설 계획이다.
해당 간사들은 각각 △장동혁(법제사법위) △강민국(정무위) △박수영(기획재정위) △조정훈(교육위) △최형두(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김건(외교통일위) △강대식(국방위) △서범수(행정안전위) △박정하(문화체육관광위) △정희용(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박성민(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 △김미애(보건복지위) △김형동(환경노동위) △권영진(국토교통위) △이성권(정보위) △조은희(여성가족위) 의원 등이다.
국민의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