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소장파 모임 '언더73'의 진종오 의원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당 혁신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국민의힘 내 친한(친한동훈)계 소장파인
'언더73'이 향후 당론을 의원총회가 아닌 전(全) 당원 투표로 결정하자고 9일 주장했다. 당의 현역 의원들이 뽑는 원내대표 선거도 당원 의사가 반영되는 구조로 바꾸자고 했다.
최근 '안철수 혁신위' 와해 사태를 가리켜
"혁신하는 시늉조차 못하는 답 없는 집단"이라고 직격하기도 했다.
진종오 의원(초선·비례)과 국민의힘 박상수·송영훈 전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은 진정 혁신할 생각은 없고, 혁신위원회를 들러리 세워 혁신하는 척만 하려고 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의 민낯이 만천하에 드러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총선·대선의 연이은 패배에 이재명 정부의 폭주가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지만 제1야당은 무력하기만 하다. 변화와 쇄신을 거부하는 국민의힘 말에 힘이 실리지 않는 까닭"이라며 혁신을 거부하는 수구세력으로 이른바 '언더 찐윤(외부에 덜 알려진 친윤석열계)'을 지목했다.
당의 위기를 일시 모면하기 위한 혁신위는 '꼼수'에 불과하다고도 지적했다. 언더73은 안철수 의원이 앞서 송언석 비대위원장에게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
'인적 청산'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근본적으로는 이 당의 주인인 당원에게 주권을 돌려주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당비를 내고 있는 국민의힘 책임당원이 70만 명에 달함에도, 당내 의사결정은 '0.01%'에 불과한 국회의원 107명이 좌지우지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언더73은 "'언더 찐윤'과 같은 기득권에게 당원은 모셔야 할 주인이 아니라 구경꾼이고 동원 대상일 뿐이다. 이런 식이면 민심은커녕 당심(黨心)과도 동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차기 당대표를 뽑는 8월 전당대회에서 당원주권을 확립해야 한다며, 총 5가지 개혁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당론은 의원총회 의결이 아닌 당 지도부가 부치는 전 당원 투표로 결정 △시·도당위원장은 대의원 투표가 아닌 시·도당 당원 직접투표로 선출 △당원소환제 대상을 '당대표·선출직 최고위원'에서 '모든 당직'으로 확대 △원내대표 선출시 전 당원 투표결과 반영 △당원권 강화 취지에서 당비 납부 당원의 명칭 변경 등이다.
언더73은 이같은 당헌 개정안을 전 당원 투표에 부칠 수 있게 비대위에 상임전국위를 소집해 달라고 촉구했다. 안 의원 사퇴 이틀 만에
신임 혁신위원장으로 지명된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의 결단도 압박했다.
박 전 대변인은 "윤 위원장이 취임 일성으로 당원 주권 강화와 함께 상향식으로 당을 바꿔야 한다고 하신 것을 높게 평가한다. 저희 성명문이야말로 가장 기본적 요건들"이라며
"오늘 말씀이 허언이 아니라면 이 5가지부터 가장 먼저 받아들여 달라"고 했다. 송 전 대변인도 "(혁신)의지의 문제"라고 거들었다.
당 혁신 요구하는 국민의힘 소장파. 연합뉴스
당의 혁신 방향은 이미 '정답'이 나와 있다고도 했다. 그간 당에서 잘못된 의사결정을 주도한 이들이 책임을 지고,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황우여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장 등이 필요성을 언급한 '집단지도체제 전환'에는 부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구(舊) 주류의 기득권 지키기라는 이유에서다. 송 전 대변인은 "당원의 권리를 얼마나 확대할 수 있을지의 문제는 오래 전부터 출제돼 있다. 있지도 않은 문제를 만들어 쓰고, 거기 (셀프로) 답을 쓰는 자세로는 혁신을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회견이
한 전 대표의 전당대회 등판을 위한 일종의 '빌드업'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특정 개인을 위해 마련된 자리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진 의원은 "(출마 여부 관련) 고민이 많으실 텐데 제가 얘기할 부분은 아니다"라고 했고, 송 전 대변인은 "(개인의 정치적 유불리 이전에) 당이 살아야 정치도 있다. 당이 이대로 망하면 뭐가 남겠느냐는 절박함"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