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사라진 프라하의 시, 밀란 쿤데라의 언어로 복원하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유고작 '89개의 말·프라하, 사라져가는 시'

밀란 쿤데라. 민음사 제공밀란 쿤데라. 민음사 제공
세계적 작가 밀란 쿤데라의 2주기를 앞두고, 그의 미발표 산문 2편을 엮은 유고작 '89개의 말·프라하, 사라져가는 시'가 출간됐다.

제목 그대로, 단어 하나하나에 깃든 쿤데라의 사유와 상실의 정조를 고스란히 담은 이 책은 작가의 내면과 문학적 세계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개인적 기록이자 철학적 유언이다.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태어나 1975년 프랑스로 망명한 쿤데라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통해 인간 존재의 무게를 탐구한 대표적인 현대 작가다. 이번에 공개된 유고 산문 두 편은 그가 프랑스의 인문·정치잡지 '데바'에 각각 1985년과 1980년에 발표한 글로, 쿤데라의 사유와 고뇌가 농축된 텍스트다.

앞서 실린 '89개의 말'은 제목과 달리 총 101개의 단어로 구성된 미니 사전이다. 이 글은 쿤데라가 자신이 중요하게 여긴 단어, 회피하고 싶은 단어, 끝내 정의하지 못한 단어들에 대해 사유한 짧은 글 모음이다.

'아이러니', '절대', '존재', '저속함', '오르가슴' 같은 항목들 속에는 쿤데라 특유의 아이러니와 유머, 철학적 성찰이 배어 있다.

그는 "소설은 본질적으로 아이러니의 예술이며, 그 진실은 숨겨져 있고 말해지지도 말해질 수도 없다"고 정의하며, 자신이 쓴 언어에 얼마나 집착하고 성찰했는지를 드러낸다. 프랑스어 번역본이 왜곡된 사실에 분노하면서도, 결국 프랑스어로 집필할 수밖에 없었던 망명 작가의 정체성은 이 글 속 곳곳에 배어 있다.

민음사 제공 민음사 제공 
이어 실린 '프라하, 사라져가는 시'는 단행본으로 국내에 처음 번역 소개되는 글이다. 작가는 고국 체코와 그 수도 프라하를 향한 깊은 애정과 안타까움을 담아, '천년 역사의 마지막 메아리'가 어떻게 '전체주의의 밤' 속에 파묻혔는지를 서술한다.

그는 "소국은 대국을 모방한다는 믿음은 환상"이라며, 카프카와 야나체크, 초현실주의 시인 네즈발 등 중부 유럽 예술가들이 어떻게 자신만의 언어와 감각으로 또 다른 유럽을 창조했는지를 강조한다. 특히 '소송'의 요제프 K와 '용감한 병사 슈베이크'가 예견한 전체주의의 도래를 예리하게 짚으며, 프라하의 고유한 문화가 어떻게 억압당하고 지워졌는지를 담담히 고찰한다.

이번 책의 서문을 쓴 편집자 피에르 노라는 "이 책은 밀란 쿤데라의 소설 세계에 대한 최고의 입문서이자, 그의 섬세한 판단과 아이러니를 재발견할 기회"라고 소개했다.

밀란 쿤데라 지음 | 김병욱 옮김 | 민음사 | 132쪽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