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저고위 부위원장 "올해 합계출산율 0.8명 달성 배제 어려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주형환 부위원장 "올해 4월 출생아 수 8.7% 증가하는 등 상승세 지속"
출산율 반등 요인…혼인율 증가·정책효과·국민인식 개선

연합뉴스연합뉴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주형환 부위원장이 "올해 합계출산율이 0.79명을 넘어 0.8명 달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주 부위원장은 11일 '제14회 인구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2024년도 합계출산율이 0.75명으로 9년 만에 상승한데 이어, 올해 4월 출생아 수도 전년 대비 8.7% 증가하는 등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주 부위원장은 이러한 출산율 반등 요인을 크게 △혼인율 증가 △정책효과 △국민인식 개선 등을 꼽았다.

우선 코로나19 이전 매년 평균 2.5%씩 감소하던 혼인 건수가 지난해에는 14.8% 증가해, 혼인율 반등이 출산율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주 부위원장은 출산율 반등폭은 혼인 증가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지난해 발표한 '저출생 추세반전 대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결혼·출산·육아에 대한 국민 인식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위원회가 매년 실시하는 '결혼·출산·육아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에서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긍정 응답과 출산 의향이 모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 부위원장은 "정부 정책 뿐 아니라 정책이 현장에서 잘 실행될 수 있도록 돕고, 인식개선에 앞장서 준 수상자를 포함해 사회 각계의 노력이 함게 모여 만든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2030년까지 합계출산율 1명대를 달성하자면, 매년 5%씩 5년간 출생아 수가 늘어나야 하는 어려운 과제"라며 "미래 불확실성, 완벽한 육아에 대한 강박, 아이가 살아갈 미래에 대한 높은 우려 등 청년세대의 심리적 불안과 압박도 매우 높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일·가정 양립, 양육부담 완화, 주거 지원 등 3대 정책을 더 강하게 밀어붙이고, 수도권 집중과 사교육비 부담 등 구조적 과제를 정면 돌파해야 확고한 구조적 반등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0

1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