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불법계엄 사태로 특검 수사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치고 대기 장소인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12·3 내란·외환 사태를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오는 14일 오후 2시에 출석할 것을 재차 요청했다.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11일 오후 서울고검 언론브리핑에서 "14일 월요일 오후 2시 출석을 요청했다"며 "윤 전 대통령이 조사에 응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 특검보는 "출정 조사에 응하지 못할 정도의 건강상 문제는 없다는 취지의 회신을 받았다"며 "입소시 건강검진 및 현재까지 수용과정에서 건강상 문제점이 객관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고 회신이 왔다"고 설명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이날 건강상 문제를 이유로 오후 2시에 예정된 특검의 3차 소환에 불응했다. 이에 특검은 서울구치소에 건강상의 문제가 수용자 입소시 건강검진과 관리과정에서 발견됐는지 확인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추가 소환에도 응하지 않을 경우, 형사소송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형사소송법상 구속에는 구금뿐 아니라 구인도 포함된다는 것이 특검 측 설명이다.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은 법률가이자 법조인을 워낙 많이 해서 구속영장의 성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윤 전 대통령이 조사에 응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올해 초 내란 등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체포·구속됐을 때도 수사기관의 출석 요구에 불응했다. 당시 공수처는 세 차례 강제구인과 현장조사를 시도했지만 결국 조사에 실패했다. 이후 법원 구속취소 결정으로 석방된 윤 전 대통령은 최근 내란특검이 신병확보를 예고한 상황에서 두 차례 소환조사에 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