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바지락' 칼국수 귀해진다…끓는 바다에 조개류 반토막 전망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부경대 자원환경경제硏 분석 결과 발표
이대로면 25년 뒤 바지락 생산량 '절반'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기후변화로 바다 온도가 상승하면서 오는 2050년쯤에는 바지막 생산량이 절반 넘게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3일 한국기후변화학회에 따르면 최근 정필규 국립부경대 자원환경경제연구소 연구원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바지락 생산량 변화와 경제적 피해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정 연구원은 '온실가스를 현재 수준으로 배출할 경우'(SSP5-8.5·고탄소 시나리오), '탄소를 서서히 줄일 경우'(SSP2-4.5·중탄소 시나리오), '2070년쯤 탄소중립을 달성할 경우'(SSP1-2.6·저탄소 시나리오) 바지락 생산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전망했다.

분석 결과 고탄소 시나리오를 가정할 때 2041~2050년 바지락 생산량은 지난 2000~2022년 대비 5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중탄소 시나리오에서 생산량은 37.9%,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29.2% 감소했다. 탄소배출을 줄여도 바지락 생산량이 감소하지만, 감소하는 비율은 낮아진 것이다.

국내 조간대에 서식하는 이매패류 가운데 가장 많이 잡히는 조개가 바지락인 점을 감안하면, 생산량 감소에 따른 경제적 피해도 클 것으로 예상됐다.

바지락 가격을 2013~2022년 평균인 1㎏당 3015원으로 계산할 때 생산량 감소에 따른 국내 어민들의 잠재적 손실은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460억 7천억 원, 저탄소 시나리오에서 258억 8천만 원으로 추산됐다.

정 연구원은 "고수온 내성이 높은 품종을 개발하고 치패(새끼 조개) 채묘 기술을 개선하는 등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1

1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