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황진환 기자'범학계 국민 검증단'(검증단)은 14일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발표한 논문들의 표절이 심각하다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검증단은 '이 후보자 논문 표절 의혹 검증을 위한 대국민 보고회'에서 "2022년 9월 김건희 씨의 논문 검증 경험을 바탕으로 검증단을 재가동했고, 이 후보자의 논문 전수 검증을 신속히 추진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검증단은 논란이 된 이 후보자의 논문들을 유형별로 정리해 검증했다.
범학계 국민 검증단 제공검증 결과, △제자의 학위 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제1저자로 학술지에 발표한 경우 8건 △제자의 학위 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교신저자로 학술지에 발표한 경우 2건 △제1저자로 참여한 학술지 논문이 제자의 학위 논문보다 먼저 게재된 경우 4건 △제1저자로 참여하고, 중복으로 게재한 경우 2건 등이다.
검증단은 '공동주택 야간경관조명 사례 조사를 통한 조명디자인 감성평가'는 A씨 석사논문과의 표절률이 52%, '건축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문양의 조형요소에 대한 영향 평가'는 B씨 박사논문과의 표절률이 56%,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는 C씨 박사논문과의 표절률이 36%로 각각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논문 표절 및 저자 표기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교육부 장관이 논문 표절 논란에 휘말린다는 것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우리나라 학계와 연구 윤리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교육부 수장의 논문 표절 문제는 김건희 씨의 논문 표절과는 비교로 안 될 정도로 그 파장이 클 것"이라며 "이 후보자의 과오를 묵인한다면 대학 현장에서는 보고서와 학위논문 심사에 이중잣대를 들이대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11개 교수단체 모임인 검증단은 과거 김건희 씨의 논문 검증을 주도해 석사학위 박탈을 이끈 바 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 또한 단호히 결단하기를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밝혔다.
다만, 당시 제자들은 지난 8일 '충남대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환경계획실험실 원우 일동' 명의로 호소문을 내고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과 관련해 '억측이자 오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해당 논문은 프로젝트 기반 연구로, 교수님이 연구 기획 단계부터 진행 세부 사항, 결과 검토 및 세부 수정·보완까지 직접 수행했다"며 "교수님이 주 저자인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계에서는 주 저자와 교신 저자에 대한 인정 비율에서 차이가 없으며, 교수님이 주도한 논문만 주 저자로 했기에 문제가 될 수 없는 내용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