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을 국가보훈부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국회에서 15일 권오을 국가보훈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열린 가운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권 후보자의 역사관을 집중적으로 따져 물었다. 동시에 집권 내내 '뉴라이트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윤석열 정부도 때렸다.
국민의힘 전신인 한나라당에서 국회의원을 지낸 권 후보자는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 헌장과 제헌헌법 전문에 따라 1919년이라고 생각한다"며 '건국절 논란'에 선을 그었다.
권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항간에서는 1948년 8월 15일을 건국절로 보는 시각이 있다'는 민주당 김용만 의원 질의에 "초대 이승만 대통령 취임사와 관보 1호를 보면 '대한민국 30년'이라고 (공통적으로) 나와 있다"고 답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이 논쟁은 마무리하자(는 생각)"이라며 "임시정부와 미군정을 거쳐 정식 정부(가 출범했고) 대한민국 국호(시작)는 1919년으로 정리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100% 동의한다. 따라서 건국절 논쟁 자체가 있으면 안 되는 게 맞죠"라고 물었고, 권 후보자는 "그렇습니다"라고 수긍했다.
'건국절'은 대한민국 정부의 시작점을 1948년 8월 15일로 보는 극우성향 단체 및 학자들의 개념이다.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입장이란 점에서 '식민사관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도 동일한 서면질의에 대한 권 후보자의 답변은 상이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보훈부 회신에 따르면 권 후보자는 관련 질의에 '헌법 전문을 이해하고 존중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한 지속적 논쟁은 국민 통합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 의원은 이를 근거로 "이걸 답변이라고 갖고 오나"라고 질타했고, 권 후보자는 "죄송하다. 제가 확인하지 못한 불찰"이라고 고개를 숙였다. 상임위 질의가 약 500건에 이르다 보니 본인이 일일이 다 확인하고 자신의 의견을 직접 기술하지 못했다는 취지다.
권 후보자는
같은 맥락에서, 역사왜곡 논란이 제기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 과정에 대해 "장관에 취임하게 되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고도 밝혔다. 지난해 8월 취임한 김 관장은 '건국절' 옹호 입장을 밝혀 광복회 등으로부터 '뉴라이트 인사'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
그는 해당 질의에 "내가 평소 가진 생각은
정무직은 임명권자가 바뀌면 재신임 절차를 모두 다 거쳐야 한다는 것"이라며 "아직 입법이 안 됐지만, 그런 방향으로 해야 나중에 (정권 교체 후) '알박기' 등의 시비가 없어지지 않겠나"라고 답변했다.
논란이 된 김 관장의 발언들에 관해서도 "이념에 너무 치우치고 팩트(사실관계)와 이 시대에도 안 맞는 말씀"이라며 "저로서는 참 받아들이기 어려웠다"고 밝혔다.
권오을 국가보훈부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봉오동 전투의 영웅인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에 대해서는 "홍범도 장군은 우리 독립전쟁의 영웅이고, 봉오동·청산리 전투는 이미 국민 자긍심의 역사로 자리 잡았다. 이 문제로 논란이 된 것 자체가 안타깝다"고 일축했다.
앞서
재임 당시 광복절 경축사에서 '반(反)국가 세력' 등의 단어를 언급한 윤 전 대통령과 관련해 "왜 저렇게 이념에 따라서 편을 가르실까, 굉장히 안타까웠다"고 하기도 했다. 권 후보자는 "제가 보훈부장관이 되면 그런 갈등을 넘어서 미래를 위해서, 국민 통합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권 후보자는 12월 3일을 '내란 극복일'로 지정해 정부 기념식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관해선 "거기까지 생각해보지 못했다"며 입장을 유보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일으킨
12·3 비상계엄에 대해선 "헌법질서를 유린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추후 장관으로 임명될 경우 '보훈부를 내란극복·헌정수호 책임부서로 만들겠느냐'는 여당 측 질문에는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