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김성환 "원전도 무탄소에너지원…전기에 꼬리표 없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원전 청문회 된 환경장관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

"탈탄소 빨리하면서 에너지 안정 공급하도록 믹스 계획 잘 짜겠다"
"탈원전 최근에 주장한 적 없어"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오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오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
김성환 환경부장관 후보자는 15일 "전기에는 꼬리표가 없다"며 원전도 무탄소 에너지원이라는 데 동의하고 원전의 경쟁력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방향에서 "전력시스템도 탈(脫)탄소를 빨리하면서 에너지 공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에너지 믹스 계획을 잘 짜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한 가지 기술만으로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없고,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믹스가 필요하다'는 국민의힘 조지연 의원의 말에 "그렇다"고 답하며 이 같은 의견을 개진했다.

김 후보자는 '(원전과 재생에너지) 둘 중 하나를 죄악시 하면 안 된다는 데 동의하느냐'는 조 의원의 질문에 긍정 대답하고, '에너지에 정치, 이념의 꼬리표가 없다'는 발언엔 "전기에는 꼬리표가 없다"고 답했다.

김 후보자는 이어 '기후위기 대응도,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도 가능하려면 에너지 믹스가 필요하단 얘긴데, 후보자께서 원전의 경쟁력에 대해 인정하느냐'는 질의에 "네"라고 하고, '발전원의 비용 대비 효용을 비교하기 위해 만든 지표, LCOE(균등화발전비용)를 봐도 의심의 여지가 없지 않느냐'는 질의에도 "그렇다"고 답했다.

아울러 김 후보자는 '원전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싼 전원인고, 국산화 비율도 높고, 건설경쟁력도 있는 건 인정하느냐'는 질의에도 "네"라고 하고, '원전도 무탄소 전원이란 것도 인정하느냐'는 언급에도 그렇다고 답했다.

다만 '무탄소 전원을 재생에너지에 한정하는 국내 PPA(전력구매계약) 규정에 미국, 프랑스처럼 원전을 포함하는 데 동의하느냐'는 질의엔 "판단해 보지 않은 문제라 좀 더 살펴보고 답변드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PPA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사업자와 전력소비자(주로 기업)가 전력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계약을 맺는 일종의 '직거래' 방식으로, 재생에너지 시장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날 청문회에서 원전과 관련한 김 후보자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질의가 오간 건 현재 국정기획위원회에서 검토 중인 기후에너지부 신설 방안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 파트를 환경부로 이관해 기후환경에너지부를 설립하는 안이 논의되고 있어서다.

이 경우 지금의 환경부가 국가 에너지 정책을 총괄하는 주무부처가 되는데, 수장인 김 후보자가 과거 탈원전을 주장한 전력이 있어, 기후환경에너지부로의 개편 시 원전 개발이 등한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일각에서 제기되는 것이다.

김 후보자는 국민의힘 김위상 의원의 급격한 탈원전 우려에 "제가 탈원전을 최근에 주장한 적은 없다"며 "모호하지 않게 잘하겠다"고 일축했다.

그는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모든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RE100을 먼저 달성한 애플의 사례를 들어 "애플이 최근 가장 강조하는 게 RE100을 넘어 24/7 CEF(무탄소에너지), 모든 전력을 24시간 일주일 내내 탄소에 의존하지 않는 새 방식으로 가자는 것"이라면서 "RE100을 달성하고도 실제로 24시간 재생에너지로 못 돌리는 건 간헐성 때문인데, 섹터 커플링을 해서 ESS(에너지저장장치)나 그린수소로 (극복)하고, 필요하면 원전도 함께 써서 (무탄소)하자는 취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 취지를 감안해서 대한민국 전력시스템도 탈탄소를 빨리하면서 에너지공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에너지믹스 계획을 잘 짜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