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李대통령 국정지지도 61.6%…'경제 회복' 호평 지속[KSOI]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TK서도 지지율 오르며 56.4% 기록

가장 잘하는 것 '경제회복' 32.6%…'경제 좋아질 것' 55.1%
가장 못하는 것 '외교안보' 17.5%…내란척결보다 높아
장관 인선 '적절했다' 45.5% '부적절했다' 39.1%
정당 지지도 민주 49.1%로 상승…국민의힘 25.3%
3대 특검 '잘한다' 50%, 국민의힘 혁신위 '기대 안 돼' 65.6%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충북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70기 5급 신임관리자과정 교육생들에게 '국민주권시대, 공직자의 길'을 주제로 특강하는 모습.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충북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70기 5급 신임관리자과정 교육생들에게 '국민주권시대, 공직자의 길'을 주제로 특강하는 모습.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 긍정평가가 61.6%에 달한다는 여론조사가 발표됐다. 가장 잘했다고 평가된 영역은 '경제회복'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14일부터 15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6일 발표한 전국 정치현안 여론조사 2차에 의하면 응답자의 61.6%는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직전 조사이자 1차 조사인 지난 2일 발표 조사 때의 59.3%보다 2.3%p(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반면 이 대통령에 대한 국정운영 부정평가는 같은 기간 34.6%에서 32.9%로 1.7%p 낮아졌다.
 
긍정평가는 전 지역, 전 연령에서 부정평가에 앞섰다. 긍정평가가 가장 낮은 연령인 18~29세에서도 49.1%로 과반에 육박했고, 가장 낮은 지역인 강원·제주에서도 52.1%로 과반을 기록했다. 지난 조사에서 48.8%이던 대구·경북의 긍정평가는 56.4%로 높아졌다.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저녁 서울 광화문 인근 한식당에서 나오며 시민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저녁 서울 광화문 인근 한식당에서 나오며 시민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가장 잘하고 있는 분야로는 32.6%를 차지한 '경제회복'이 꼽혔다. 경제회복은 지난 조사에서도 33.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민통합이 10.8%, 내란세력척결이 9.0%, 복지노동이 7.6%, 외교안보가 2.9%를 차지했다.
 
가장 못하고 있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는 외교안보가 1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난 조사에서는 내란세력척결이 18.8%로 가장 높았는데, 순위가 바뀌었다.
 
인사청문회가 진행 중인 각 부처 장관 지명자 인선에 대한 평가는 '적절한 인선'이 45.5%로 '부적절한 인선' 39.1%보다 6.5%p 높게 나타났다.
 
KSOI는 지속적인 코스피 지수 상승과 강력한 부동산 대책 등 경제 분야에 대한 기대감이 유지되고 있다며 향후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후보자들에 대한 국민적 여론과 낙마 여부 등에 따라 전반적인 국정평가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9.1%를 얻으며 25.3%인 국민의힘에 2배 가까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은 지지율이 지난 조사 47.8%에서 1.3%p 오른 반면, 국민의힘은 25.5%에서 25.3%로 0.2%p 하락했다.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2.6%, 진보당 1.3%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른바 '3대 특검(특별검사)'로 불리는 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에 대한 평가는 '잘하고 있다'가 50.0%, '잘못하고 있다'가 30.7%로 긍정평가가 19.3%p 높게 나타났다.
 
지난 10일 출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회에 대한 기대는 '혁신이 기대되지 않는다'가 65.6%로 '혁신이 기대된다'는 응답 17.1%를 4배 가까이 상회했다.
 
경제 전망은 '좋아질 것'이 55.1%, '나빠질 것'이 39.8%였으며, 한반도 평화 전망도 '좋아질 것'이 56.1%로 '나빠질 것' 36.3%를 상회했다.

9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