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성년자 성착취범 고(故) 제프리 엡스타인의 생일을 축하하며 외설적인 그림과 함께 가상 대화가 담긴 편지를 보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보도를 전면 부인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2003년 엡스타인의 50세 생일을 맞아 보낸 편지가 포함된 가죽 장정 앨범의 존재를 보도했다. 해당 앨범은 엡스타인과 가까웠던 영국 사교계 인사 길레인 맥스웰이 제작을 주도했으며, 엡스타인의 가족과 지인 수십 명이 보낸 편지가 수록돼 있다고 한다.
앨범에는 재계 인사, 학자, 변호사, 과거 연인과 어린 시절 친구들이 보낸 메시지가 포함돼 있으며, 일부는 장난스럽거나 음란한 내용이었다고 한다.
트럼프의 이름이 적힌 편지에는 굵은 마커로 그린 나체 여성 그림이 포함돼 있었으며, 여성의 허리 아래 부위에는 '도널드'라는 서명이 체모를 형상화한 방식으로 삽입돼 있었다고 WSJ은 보도했다. 편지 안쪽에는 트럼프와 엡스타인의 가상 대화도 타이핑된 형태로 포함돼 있었다고 전했다.
WSJ이 공개한 가상 대화는 아래와 같다.
WSJ이 공개한 가상 대화
|
내레이션: 인생에는 모든 것을 갖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어야 합니다.
트럼프: "물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게 무엇인지는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 제프리: "나도 그게 뭔지 알고 있으니까요." 트럼프: "우리는 공통점이 좀 있어요, 제프리." 제프리: "그렇죠, 생각해 보니 그렇죠." 트럼프: "'에니그마'는 결코 나이를 먹지 않는다는 걸 알고 있나요?" 제프리: "사실, 당신을 마지막으로 본 순간부터 분명했어요." 트럼프: "친구란 건 정말 멋진 거야."
"생일 축하해요. 그리고 매일매일이 멋진 비밀로 가득하길 바랍니다." |
WSJ은 편지의 사진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처럼 음란한 그림과 상징적 언어가 섞인 대화 형식의 텍스트가 포함돼 있었다고 밝혔다. 편지의 존재는 이번에 처음 보도됐으며, 해당 앨범은 과거 엡스타인과 맥스웰에 대한 법무부 수사 과정에서 검토된 자료 일부였다고 한다. 다만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이 자료가 다시 검토됐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법무부와 FBI는 관련 질의에 응하지 않았으며, 논평도 거부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WSJ 보도 이틀 전인 15일, 해당 보도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 가짜다. 가짜 월스트리트저널 기사다"라고 반박했다. 그는 "나는 평생 편지에 그림을 그려 넣은 적이 없다. 저건 내가 쓰는 언어도 아니고, 내가 한 말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기사가 나가면 WSJ에도 다른 언론과 마찬가지로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WSJ은 전했다.
엡스타인의 미성년자 성착취 의혹은 2006년 처음 공론화됐고, 그는 2008년 주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뒤 짧은 복역 후 풀려났다. 이후 2019년 연방 차원의 성매매 알선 혐의로 다시 구속됐다가, 같은 해 8월 교도소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사건은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됐다.
엡스타인의 성범죄를 도운 혐의로 함께 기소된 맥스웰은 2021년 유죄 평결을 받고 20년형을 선고받았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WSJ 보도가 나온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팸 본디 법무장관에게 "엡스타인 사건 관련 대배심 증언 중 의미 있는 내용은 법원 승인 하에 전면 공개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주당에 의해 지속되고 있는 이 사기극을 당장 끝내야 한다"며 " 이제 난 그와 그의 3류 신문사를 고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글이 게시된 직후 본디 법무장관은 "내일 연방법원에 대배심 증언 녹취록 공개 허가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뉴욕타임스(NYT)는 대배심 증언 녹취록은 범죄 피해자와 증인을 보호하기 위해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공개되기 때문에, 법원이 공개를 거부할 수도 있다며 투명한 사건 공개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잠재우는 데 큰 도움이 안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