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석 신임 인사혁신처장이 2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인사혁신처 제공21일 취임한 최동석 신임 인사혁신처장의 과거 발언과 주장들이 논란을 빚고 있다.
최 처장은 지난달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린 '오광수 민정수석 낙마와 그 의미: 문재인 정부의 인사 검증 7대 기준이라는 멍청함'이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문재인 정부가) 멍청한 기준을 갖다 들이대고 사람을 골랐더니 어떻게 됐냐"며 "(이런 기준을 통과한) 순진한 사람, 그런 사람들만 갖다 앉혀 나라가 망한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 유튜브 영상은 삭제된 상태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17년 1월 기존 고위공직자 5대 검증 기준인 위장전입, 병역 기피, 불법 재산증식, 탈세, 연구부정 행위에 음주운전, 성 관련 범죄 이력 검증을 추가한 7대 원칙을 발표한 바 있다.
최 처장은 영상에서 "문재인 정부 장·차관들 명단을 쭉 봐라. 다 문재인 같은 인간들이다. 무능한 인간들이라는 것"이라고 했다.
최 처장은 그러면서 "높은 사회적 성취가 있는데 (7대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몇 개 있다. 해명하라고 하면 된다"며 "불법적으로 재산 증식한 게 있다면 '사회에 환원하겠다' 그렇게 하면 되는 것"이라며 "일꾼이 몸 튼튼하면 되지 과거에 도덕성 가지고 시비 붙는 건 진짜 멍청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 처장은 문 전 대통령에 대해 "아직도 문재인을 칭송하는 사람들 있다. 문재인을 칭송하는 건 있을 수가 없다"며 "문재인이 오늘날 우리 국민이 겪는 모든 고통의 원천"이라고 비판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동석 신임 인사혁신처장이 2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인사혁신처 제공최 처장은 지난 2020년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당시 '기획된 사건'처럼 보인다는 내용의 언론 기고문을 썼던 것으로 확인돼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논란도 일고 있다.
인사혁신처 등에 따르면 최 처장은 박 전 시장 사망 후 10여 일 뒤인 2020년 7월 28일 '박원순 사태, 가해자가 피해자로 바뀌는 경우도 흔하다'는 제목으로 한 진보 성향 인터넷 매체에 기고했다.
최 처장은 기고문에서 "(박 전 시장은) 치사한 짓을 하는 사람이 아니다. 구차하게 변명하는 것 자체를 싫어한다. 정말이지 깨끗한 사람"이라며 "많은 이들이 어떤 증거도 내놓지 못하면서 박원순을 성범죄자로 몰아갔다. 특히 여성 단체들이 부화뇌동하는 것을 보고 놀랐다"고 썼다.
또 "내 눈에는 직감적으로 이 사안이 '기획된 사건'처럼 보였다. 박원순에게 정치적 타격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사건"이라며 피해자 측 김재련 변호사를 비판하기도 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22일 페이스북에 "최 처장처럼 코드인사로 권력에 영합하고, 성폭력 피해자를 가해자로 모는 사람이야말로 극우 인사"라며 " 이 대통령의 인사를 비판했다.
차관급인 인사혁신처장은 공무원의 채용, 승진, 복무, 윤리, 재해보상, 연금 등 공무원의 입직부터 퇴직까지 인사제도를 총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