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예수'의 모습처럼…제주의 아픔 4·3 비극 보듬어야"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제주CBS 목회자 상대 강연회…"4·3 외면한 개신교계 성찰" 촉구

고희범 전 4·3평화재단 이사장. 고상현 기자고희범 전 4·3평화재단 이사장. 고상현 기자
70여 년 제주4·3 당시 악명을 떨쳤던 '서북청년단'과의 연계설 등의 이유로 4·3에 대해 외면해온 개신교계의 성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사회적 약자를 품었던 '예수'의 모습처럼 제주의 아픔이자 현대사 비극인 4·3을 보듬고 치유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라도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개신교, 제주 아픔에 진정한 위로 돼야"

2일 제주CBS 목회자운영위원회 주최로 제주시 제주동부교회에서 열린 '4·3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강연회에 고희범 전 4·3평화재단 이사장이 연단에 섰다. 이날 강연회에는 제주CBS 운영이사장인 제종원 동남교회 담임목사와 김대휘 제주CBS 대표, 도내 교회 목사 등이 참석했다.
 
고희범 전 이사장은 "4·3 당시 종교시설 피해도 있었다. 개신교계 피해를 보면 무장대에 의해서 피해를 입은 교회가 4곳, (군경) 토벌대에 의해 피해를 입은 교회는 1곳으로 극명하게 차이를 보인다. 이는 제주4·3이 개신교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은연중에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 배경에는 개신교 신자가 속한 것으로 알려진 '서북청년단'이 자리한다고 말했다. '서북청년단'은 4·3 당시 도민을 상대로 약탈과 폭행, 살인을 일삼아 악명을 떨쳤던 단체다.
 
강연회 모습. 고상현 기자강연회 모습. 고상현 기자
고 전 이사장은 "3만여 명이 죽어나갈 때 한국 교회는 희생자와 유가족을 위로하지 않았다. (지금부터라도) 4·3에 대해서 회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무것도 모르고 죽어간 일흔 살 노인과 이름도 없는 두 살 아이를 위령해야 한다. 제주의 아픔에 진정한 위로가 돼줘야 한다"고 했다.
 

"올바른 이름 찾기"…4·3의 남은 과제

4·3은 수많은 현대사 비극 중에서도 가장 먼저 정부 진상조사가 이뤄졌다. 이에 따라 대통령 사과와 국가 추념식 지정, 희생자 배·보상까지 이뤄냈다. 언뜻 해결된 과거사처럼 보이지만, 고 전 이사장은 4·3의 올바른 이름 찾기와 미국 사과, 배제자 문제를 4·3의 남은 과제로 강조했다.
 
고 전 이사장은 "현재 4·3에 대해서는 사건 등 가치중립적인 표현만 사용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 6월 민주항쟁 등 다른 과거사의 경우 이름이 있지만, 4·3은 여전히 이름이 없다. 올바른 이름을 붙이기 위해선 성격 규정이 선행돼야 하고 그 이후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강연회 모습. 고상현 기자강연회 모습. 고상현 기자
그는 또 현재 희생자에서 제외된 '배제자'에 대해서도 "4·3특별법의 화해와 상생 정신에 맞게 희생자로 인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배제자는 무장대로 활동했던 사람 등을 뜻한다.
 
고 전 이사장은 미국의 사과도 받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아시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가 몽골이다. 이 과정에서 과거 소련이 승려와 유목민 등 10만 명을 학살했다. 몽골에서도 러시아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는데, 4·3 때도 미군정이 구체적으로 지휘한 만큼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