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광주광역시장 더불어민주당 후보 적합도.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제공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약 9개월 앞두고 광주광역시장 더불어민주당 후보 적합도에서 민형배 국회의원이 오차범위 밖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형배, 전 연령·전 자치구에서 선두
차기 광주광역시장 민주당 후보군. 왼쪽부터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문인 북구청장, 민형배 국회의원, 이병훈 민주당 호남특위 수석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제공2일 광주CBS 노컷뉴스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실시한 차기 광주광역시장 더불어민주당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민형배 국회의원(광주 광산을)이 30.5%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현직인 강기정 시장은 13.6%로 2위에 머물며, 민 의원과의 격차는 16.9%포인트를 기록했다. 이어 문인 광주 북구청장이 10.0%, 이병훈 민주당 호남특위 수석부위원장이 7.9%를 기록했다.
민 의원은 자신의 지역구인 광산구(34.4%)는 물론, 모든 자치구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지지세를 보였다. 특히 40대(41.2%)와 50대(40.4%)에서 두드러진 우위를 나타냈으며, 민주당 지지층에서도 34.7%로 강 시장(16.9%)을 크게 앞섰다.
반면 문인 청장은 북구(14.2%)에서, 이병훈 수석부위원장은 동구(19.0%)와 남구(10.0%)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을 보였다.
강기정 시장 직무평가, 긍정 29.4%, 부정 60.5%
이번 조사에서 강기정 시장의 직무수행 평가는 긍정 29.4%, 부정 60.5%로 나타났다.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보다 31.1%포인트 높아, 낮은 직무평가가 후보 적합도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20대에서 부정 평가가 69.5%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지역에서 부정 응답이 과반을 넘었다.
다만 일부 지역, 특히 남구에서는 긍정 평가가 41.8%로 나타나 강 시장의 정책 추진력과 지역 현안 대응에서 일정 부분 성과를 인정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광주광역시 주요 현안 여론조사 그래프.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제공청년 일자리 정책, 광주 최우선 과제로 부상
광주시 주요 현안으로는 '청년 일자리 정책'(34.2%)이 최우선 과제로 꼽혔다. 이어 인공지능 기반 산업 육성(19.5%), 군공항·탄약고 이전(15.4%), 교통 인프라 확충(11.1%) 순으로 조사됐다.
연령과 성별, 지역을 불문하고 청년 일자리 정책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특히 20대와 30대에서 응답 비율이 높아, 청년층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일자리 정책 마련이 절실함을 보여준다. 향후 선거 과정에서 일자리 대책이 핵심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8월 31일부터 9월 1일까지 광주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802명을 대상으로 무선 ARS(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5%포인트, 응답률은 5.7%였다. 가중치는 2025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값을 적용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