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대산문화재단·작가회의, 박용래·김석범 등 탄생 100주년 문인 기린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19일 탄생 100주년 기념문학제 개최

시인 박용래와 어효선. 대산문화재단 제공시인 박용래와 어효선. 대산문화재단 제공
대산문화재단과 한국작가회의가 오는 19일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과 교보문고 내수동 사옥에서 '2025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를 개최한다.

2001년부터 이어온 이 행사는 탄생 100년을 맞은 문인을 기리고 그들의 문학 세계를 재조명하기 위해 매년 열려왔다. 올해는 1925년생 김규동·김석범·박용래·어효선·이오덕·홍윤숙 등 여섯 명이 기념 대상이다.

이들 1925년생 작가들은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격랑 속에서 성년기를 맞았다. 고향을 노래하거나 민족과 통일을 염원한 서정, 제주 4·3을 다룬 대하소설, 아동문학을 통한 교육 실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시대와 문학을 마주했다.

'눈물의 시인'으로 불린 박용래(충남 강경 출신)는 '겨울밤', '저녁눈' 같은 향토적 서정을 남겼다. 어효선은 국민동요 '꽃밭에서', '파란 마음 하얀 마음'으로 동심을 노래하며 아동문학 대중화에 힘썼다. 김규동은 '강', '우리는 살리라' 등에서 고향과 어머니를 향한 그리움을 담았고, 군사정권 시기 절필 이후 민족문학 작가로 활동했다.

시인 이오덕과 소설가 김석범. 대산문화재단 제공시인 이오덕과 소설가 김석범. 대산문화재단 제공시인 김규동과 홍윤숙. 대산문화재단 제공시인 김규동과 홍윤숙. 대산문화재단 제공
재일 소설가 김석범은 대표작 '화산도'를 비롯해 제주 4·3 사건을 다룬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아동문학가이자 교육자인 이오덕은 "글을 쓰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인간교육은 없다"는 신념으로 우리말 글쓰기 교육을 이끌었다. 여성시인 홍윤숙은 실향의 아픔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생명력을 노래하며 해방 이후 여성시 발전에 기여했다.

문학제는 이날 오후 토크콘서트 '문학정담'으로 시작한다. 김규동, 박용래, 어효선, 이오덕, 홍윤숙의 삶과 작품을 주제로 후배 시인과 평론가들이 이야기를 나눈다. 이어 같은 날 저녁 교보문고 내수동 사옥 위켄드홀에서 '문학의 밤'이 열린다. '백년의 삶이 겹치는 밤'을 주제로 김석범, 이오덕의 작품이 낭독극으로 무대에 오르고, 홍윤숙의 시는 음악으로 재해석된다.

대산문화재단은 대상 문인들의 생애와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 논문서지도 발간한다. 계간 문예지 '대산문화' 가을호에는 작가 유가족의 글과 평론이 함께 실릴 예정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