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료원 외래진료센터 조감도 대구시 제공 민선 8기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핵심 보건의료 정책이었던 대구의료원 기능 강화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기능 강화사업의 핵심인 의료진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홍준표 전 시장 취임 직후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던 제2 의료원 건립이 막대한 예산과 유지 비용이 든다는 이유로 거부하면서 대신 현 대구의료원의 시설을 개선하고 의료진을 확충하는 기능 보강 계획을 내놓았다.
이를 위해 경북대병원과 협약을 맺고 의료진을 파견받아 당시 36명이었던 의료원 의료진을 68명까지 늘리기로 했다.
또, 99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2027년 9월까지 대구의료원 장례식장 서편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6층, 연면적 1만 8천㎡ 규모의 통합외래진료센터를 건립하기로 했다.
최첨단 의료장비를 도입해 뇌혈관센터 진료를 보강하고 신종 감염병 사태에 대비한 격리병상 추가 확충 등도 추진했다.
이 가운데 통합외래진료센터 건립 사업이나 의료장비 도입, 시설 개선 등은 예정대로 추진되고 있지만, 의료진과 관련된 사업은 차질을 빚고 있다.
특히 의료진 확충은 윤석열 전 정권때 일어난 의정갈등 사태의 직격탄을 맞으며 사실상 추진이 어려운 상황이다.
의료진 충원이 아니라 현 인원 유지에도 버거운 상황이다.
대구의료원의 현재 의료진은 최근 복귀한 전공의 4명을 포함해 총 44명이다.
경북대병원 소속으로 수술을 위해 주 1회만 방문 진료하는 의료진 6명을 더하더라도 당초 계획 68명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다.
대구의료원 소속 의료진은 오히려 더 줄어 경북대 병원 파견 의사 16명과 전공의를 제외하면 24명으로 계획 수립 당시 36명보다 감소했다.
이 때문에 소아 경증환자들의 진료를 위한 달빛어린이병원 지정 계획은 무산됐고 정신응급 병상 운영도 중단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의정 갈등 상황의 여파로 지방의료원 의료진 충원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경북대 병원으로부터 의료진을 파견받고 자체적으로 의료진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대구의료원 기능 보강사업은 의료 환경 변화로 인해 차질이 있더라도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