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부산 엄궁·장낙대교 두고 "집행정지" VS "건설 촉구" 집회 동시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환경단체, 엄궁·장낙대교 건설 집행정지신청
심문기일 앞두고 "미래 지키는 판결" 호소
지역 정치권은 "조속히 건설해야" 촉구

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이 12일 오전 부산지법 앞에서 엄궁대교 집행정지 요청 행정소송 시작 기자회견을 열었다. 습지와새들의친구 제공 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이 12일 오전 부산지법 앞에서 엄궁대교 집행정지 요청 행정소송 시작 기자회견을 열었다. 습지와새들의친구 제공 
부산지역 환경단체가 제기한 엄궁·장낙대교 건설 집행정지신청 심문기일을 앞두고, 환경단체와 지역 정치권이 같은 날 각각 교량 건설 반대와 촉구의 목소리를 높였다.
 
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은 12일 오전 10시 부산 연제구 부산지법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판부가 자연과 미래세대를 지키는 길을 선택해주길 간절히 호소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8월 엄궁·장낙대교 건설에 대한 부산시 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집행정지를 신청했고, 이날 오전 11시 첫 심문기일이 열렸다.
 
이들 단체는 낙동강하구 난개발이 멸종위기종인 큰고니와 대모잠자리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생태 환경 파괴까지 초래한다며 교량 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11일 서울행정법원은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이 다수 살고 있고 인근 서천갯벌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돼 있다'며 새만금 신공항 개발사업을 취소해야 한다고 판결했다"며 "이 판례는 우리 사회가 자연과 미래세대를 지키는 길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이어 "생물다양성 보전과 기후위기 대응은 한 길"이라며 "재판부의 정의로운 판결로 부산의 미래를 지켜달라"고 힘주어 말했다.

부산 강서구 국민의힘 시구의원들이 12일 오전 부산지법 앞에서 대저·엄궁·장낙대교 건설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부산 강서구의회 제공부산 강서구 국민의힘 시구의원들이 12일 오전 부산지법 앞에서 대저·엄궁·장낙대교 건설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부산 강서구의회 제공
환경단체의 집회 직전 같은 자리에서는 부산 강서구 국민의힘 시·구의원들이 엄궁·장낙대교 건설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서부산권과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도로망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극심한 교통정체가 계속되고 있다"며 "강서구에는 에코델타시티와 연구개발특구 등 대규모 주거·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어 앞으로 교통량은 급증할 것이고, 기존 교량만으로는 더 심각한 교통체증을 감당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이미 자연환경 보존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대책을 마련했다"며 "부산의 동서를 연결하는 엄궁·장낙·대저대교를 조속히 건설해 서부산권의 만성적 차량 정체를 해소하고 사회적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엄궁대교는 낙동강을 가로질러 강서구 대저동과 사상구 엄궁동을 잇는 교량으로, 장낙대교는 강서구 생곡동과 명지동 에코델타시티를 연결한다.
 
문화재보호구역인 낙동강 철새도래지를 횡단하는 두 다리와 대저대교는 자연유산 훼손 우려로 국가유산청의 승인 절차 등에 오랜 시간이 소요됐고, 환경단체 측 반발도 이어져왔다.
 
지난해 인허가 절차를 완료한 대저대교는 지난 4월 본공사에 들어갔고, 엄궁대교도 지난 7월 기공식을 열었다.
 
환경단체는 앞서 지난 2월 대저대교 건설과 관련해, 도로구역 결정 등 고시처분 취소 소송과 함께 집행정지 신청을 했다. 집행정지에 대해서는 지난 4월 각하 결정이 내려졌고, 취소 소송은 현재 진행 중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