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광양항만 물류 창고 화재 현장에서 닷새째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박사라 기자 전남 광양항만 물류창고 화재가 닷새째 이어지는 가운데, 소방당국이 기존 연소 진화 방식에서 흙 덮개 방식으로 전환하며 진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18일까지 비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진화 작업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7일 오후 4시 30분 정인화 광양시장은 화재 현장을 찾아 김옥연 광양소방서장으로부터 진화 상황을 들었다.
당초 소방당국은 불길 확산을 차단한 뒤 내부를 연소시켜 진화하는 방식을 검토했으나, 현장 논의 끝에 흙이나 모래를 덮어 산소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전환했다. 전날부터 본격 적용된 흙 덮개 방식은 불길과 연기를 빠르게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소방서장은 "흙을 덮은 구역은 불길과 연기가 뚜렷하게 줄고 있다"며 "작업이 원활히 이뤄지면 진화 속도가 앞당겨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정인화 광양시장이 17일 오후 광양항만 물류 창고 화재 현장을 찾아 광양소방서장의 설명을 듣고 있다. 박사라 기자 정 시장은 현장 점검 직후 골약동사무소 앞에서 긴급 대책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총력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광양시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리고 주민 안전을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학생들에게는 교육지원청을 통해 마스크를 보급했으며, 시민들에게는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배부하고 있다. 이날만 1만 매가 추가 배포됐고, 18일에는 2만 매를 더 확보해 주민들과 상가에 전달할 예정이다.
시는 또 24시간 대기질 측정을 통해 현재까지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 물질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중금속 포함 여부는 전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분석을 의뢰한 상태다.
광양항만 화재 현장에서 포크레인이 흙을 덮으며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박사라 기자 한편 광양환경운동연합 등 지역 환경단체는 이번 화재를 "관리·감독의 총체적 부실"이라며 여수광양항만공사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의 책임을 촉구했다. 이들은 "책임자 처벌과 함께 항만 일대 전수조사 및 상위 기관 감사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창고에서는 지난 13일 오전 8시 38분 발생한 화재가 닷새째 이어지고 있다. 불이 붙은 알루미늄 광재는 물에 닿으면 재발화하는 성질이 있어 완전 진화가 늦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