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대표단과 몽골 울란바토르시 교류 협력 논의. 최호영 기자 박완수 경남지사를 단장으로 한 경남대표단이 몽골을 찾아 전략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첫 교류의 물꼬를 텄다.
경남대표단은 19일 몽골 정부 청사와 울란바토르시청사를 잇달아 찾아 승강기뿐만 아니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소방헬기 수리온 등 산업뿐만 아니라 인적 교류 등 '경남 세일즈'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경남과 몽골과의 교류는 이번이 처음이다.
박 지사는 우선 울란바토르 키쉬기인 니암바토르 시장과 만나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스마트 승강기 협력 방안을 주요 의제로 다뤘다. 지난해 울란바토르의 아파트에 자체 개발한 스마트 승강기 4대를 수출하는 등 교류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수출 협약을 맺어 도내 우수한 승강기 기술이 몽골의 도시 기반 개선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현재 25대의 스마트 승강기의 수출 거래가 논의 중이다.
거창승강기밸리기업협의회와 몽골 기업 간 스마트 승강기 수출입 협약. 최호영 기자이를 위해 거창승강기밸리기업협의회와 몽골 기업 간 스마트 승강기 수출입 협약이 체결됐다. 협약에는 부품·완제품 수출뿐만 아니라 기술 협력, 현지 수요 대응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됨에 따라 실질적인 산업 협력의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니암바토르 시장은 "한국에 5만 명 정도의 몽골인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두 나라가 무비자 입국이 허용된다면 경제 교류 협력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중국 북경에서 경제인 포럼을 열고, 이후 도로·건설 등의 분야에서 큰 성과로 나타났다"며 경남도와의 공동 주최 형식으로 경제인 포럼 내년 개최를 희망했다.
박 지사는 "경남은 대한민국 산업의 중심지로, 경제인 포럼 제안에 공감하고 동의한다"며 실무 협의를 통해 진행할 뜻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한·몽골 35주년을 기념해 올해 몽골을 주빈국으로, 다음 달 24일부터 26일까지 열리는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이주민 축제인 맘프(MAMF)에 공식 초청했다.
니암바토르 시장은 "24일 딸의 결혼으로 사돈이 찾아온다고 해서 25일에 가도 되는지"를 물었고, 박 지사가 흔쾌히 수락하자 "올란바토르에 공공임대주택이 1만 세대가 지어지고 있다. 중국 업체와의 경쟁력과 품질에 어떤 차이가 있는 승강기 제조 현장을 가까이서 봤음 좋겠다"고 말했다.
박완수 경남지사가 몽골 울란바토르 시장에게 '맘프' 초대장을 전달했다. 경남도청 제공 니암바토르 시장은 이르면 다음 달 맘프 축제 기간 경남을 찾아 관심을 보인 승강기 산업 현장과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의 도내 주요 산업체를 찾을 예정이다.
박 지사는 "승강기뿐만 아니라 시장의 관심인 대기오염·교통체증 해결을 위한 지하철·트램의 제작 업체인 현대로템, 그리고 카이 등을 직접 둘러보고 확인한다면 시정을 펼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지사는 "경남의 기술력은 현지에서도 이미 신뢰받고 있다"며 "경남과의 협력이 울란바토르사 현대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표단은 몽골 정부 청사를 찾아 바트암갈란 엥크타이반 도시개발건설주택부 장관과도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몽골 정부가 추진 중인 신도시 개발, 도시 과밀 해소, 주거환경 개선 등 도시 정책 현안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엥크타이반 장관은 노후화된 울란바토르의 승강기를 언급하며 경남의 승강기 제조 업체 현황과 기술력뿐만 아니라 KAI의 소방헬기 수리온에 큰 관심을 보이며, 기회가 된다면 경남의 방문도 고려하겠다고 했다. 실제 지난 5월 대구에서 열린 국제소방안전박람회에서 몽골 재난관리청장이 수리온 소방헬기에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대표단, 몽골 바트암갈란 엥크타이반 도시개발건설주택부 장관 면담. 경남도청 제공 박 지사는 엥크타이반 장관에게도 맘프 초청장을 전달하며 "대한민국에서 제조업이 가장 발전한 경남이 몽골 내 주택건설과 도시개발 사업에 협력할 수 있도록 관심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엥크타이반 장관은 "몽골은 도시 인프라 현대화와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을 핵심 과제로 추진 중이며, 경남의 기술력과 경험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도는 이번 방문을 계기로 몽골과의 실질적인 교류를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