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안전 수칙 홍보물. 광주광역시 제공광주광역시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교통·화재·의료 등 생활 밀접 분야에 대한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연휴 기간 24시간 재난상황 관리 체계를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광주시는 이번 대책을 통해 △재난안전상황실 상시 운영 △교통·화재·식품 위생 점검 △응급의료기관 지정 운영 △급수·연료 안정적 공급 △취약계층 보호 △호우피해 주민 지원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고 밝혔다.
교통·화재·식품 안전 사전 점검
광주시는 귀성객이 몰리는 터미널·역·공항 주변 도로 14개 노선(91.7㎞)과 시외 주요 관문로 8곳의 시설물을 점검·보수했다. 도시철도 2호선 공사현장과 민간공원 특례사업 등 건설현장 93곳에 대해서도 안전수칙 준수 여부를 집중 점검했다.
또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등 다중이용시설 120여곳에서는 전기·가스·소방 점검을 진행해 화재위험 요인을 사전 차단했다. 성수품 안전을 위해 식품접객업소와 건강기능식품판매업소 100곳의 위생점검도 마쳤다.
연휴 시민 불편 최소화
광주시는 추석 연휴 동안 교통상황실을 운영하며 도로 소통을 관리하고, 사고 발생 시 경찰과 협력해 신속 대응에 나선다.
또 응급진료상황실을 운영해 24시간 진료 가능한 응급의료기관 26곳을 관리하고, 연휴 중 문 여는 의료기관과 약국을 지정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했다. 관련 정보는 '응급똑똑', 'e-gen' 앱과 광주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급수와 가스 등 생활필수 서비스도 종합상황실과 긴급 민원기동반을 가동해 차질 없이 제공한다.
취약계층·피해 주민 지원
광주시는 취약 어르신들에게 안부 확인과 무료급식을 제공하고, 응급안전 안심서비스를 통해 돌발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올 여름 호우피해 주민에게는 추석 전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생계 안정 위로금도 지원한다. 주택침수 피해는 최대 900만원, 소상공인 피해는 최대 1천만원까지 지원된다.
광주시 김준영 시민안전실장은 "국경일과 이어지는 긴 연휴 동안 시민 모두가 안전하고 따뜻한 명절을 보낼 수 있게 철저히 준비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