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경찰 수사전담팀 가동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대전경찰청은 대전소방본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 함께 28일 오전부터 유성구 학하동 국정자원 화재 현장 2차 합동감식에 나섰다. 김미성 기자대전경찰청은 대전소방본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 함께 28일 오전부터 유성구 학하동 국정자원 화재 현장 2차 합동감식에 나섰다. 김미성 기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전산실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2차 합동감식이 진행되고 있다. 경찰은 사건의 중대성을 고려해 수사전담팀을 꾸려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대전경찰청은 대전소방본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 함께 28일 오전부터 유성구 학하동 국정자원 화재 현장 2차 합동감식에 나섰다.

전날 진행된 1차 감식에서는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랙에서 분리해 외부 침수조에 보관했고, 이 배터리는 안정화 작업을 거쳐 국과수로 옮겨 정밀 감정을 실시할 예정이다. 소방당국은 화재로 불탄 배터리도 전부 외부로 빼내 1층 현관 침수조에 보관 중이다.

대전경찰청 강재석 과학수사계장이 28일 오전 취재진의 질의 응답에 대답하고 있는 모습. 김미성 기자대전경찰청 강재석 과학수사계장이 28일 오전 취재진의 질의 응답에 대답하고 있는 모습. 김미성 기자
대전경찰청 강재석 과학수사계장은 2차 합동감식 전 기자들과 만나 "어제는 증거물을 신속히 확보한 후 감정 의뢰했고, 오늘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시설 내부에 대한 광범위한 합동 감식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배터리 팩의 경우 2~3일 정도 안정화 과정을 거쳐야 잔류 전기가 빠지기 때문에 안전을 확보한 후 감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화재 원인이 단순한 작업 중 사고인지, 관리상의 문제나 안전 조치 미비가 있었는지 여부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전경찰청은 청 형사과장을 팀장으로 하는 20여 명 규모의 수사전담팀을 구성했다.

대전경찰청 관계자는 "정부서비스 복구가 최우선이니 만큼 복구현황을 봐가면서 사고경위 및 화재원인 규명에 필요한 정밀감식 등으로 사고원인을 밝힐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번 화재는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쯤 대전 유성구 학하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발생해 21시간 40분 만에 완전히 진화됐다. 이 과정에서 100여 명이 긴급 대피했고, 작업 중이던 도급사 소속의 직원 1명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어 병원으로 옮겨졌다.

또 주요 국가 전산망이 설치된 전산실이 불길에 휩싸이면서 정부 서비스 일부가 중단되기도 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