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글로벌 인재 유치 경쟁과 반중·혐중 정서[베이징노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항저우 육룡' 브레인코 키운 한비청 CEO, KAIST 졸업한 지한파
'비자 수수료 100배 인상' 트럼프 덕분에 글로벌 인재 유치 경쟁
트럼프發 '다시 올 수 없는 기회'에 한국도 해외 인재 유치 나선다
커지는 반중·혐중 정서로 인종차별 우려 '↑'…누가 한국행 택할까

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한국 유학파 한비청 브레인코 창업자 겸 CEO. 브레인코 위쳇 계정 캡처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한국 유학파 한비청 브레인코 창업자 겸 CEO. 브레인코 위쳇 계정 캡처
지난 22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와 AI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 의수와 의족 등을 개발하고 있는 혁신 스타트업 'BrainCO'(이하 브레인코)을 방문했다.

기자가 안내 직원의 설명에 따라 팔찌 모양의 센서장비를 팔뚝에 착용하고 손을 쥐었다 펴자 브레인코의 스마트 의수가 해당 동작을 그대로 따라했다.

더 놀라운 건 실제 손을 쥐었다 펴지 않고 머릿속으로 그리는 것만으로도 스마트 의수가 시연자의 의도대로 움직였다는 점이다. 함께 브레인코를 방문한 한국 혁신기업 관계자들의 입에서 탄성이 터져나왔다.

브레인코가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을 선보여 전세계를 깜짝 놀라게한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 등과 함께 항저우 육룡(六龍)이라 불리는 이유를 실감할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생소할지 몰라도 현재 브레인코는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가 2016년 설립한 뉴럴링크와 함께 글로벌 뇌-컴퓨터 BCI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이다.

그런데 이 혁신기업을 이끌고 있는 한비청 창업자 겸 CEO는 한국에서 BCI 기술을 싹틔운 한국 유학파이다.

그는 해외 우수 이공계 인재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에 입학해 다국적 연구 실험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BCI 기술을 처음 접했다고 언론 인터뷰를 통해 밝힌 바 있다.

이후 하버드대학교에서 석.박사를 마치고 미국에서 2015년 브레인코를 창업했지만, 항저우시의 끈질긴 설득으로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 지금의 브레인코를 키웠다.

비록 가정이긴 하지만 여러 여건이 들어맞았다면 한국이 발굴하고 지원한 한 CEO가 한국에 남아 BCI 기술을 꽃피웠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도 해본다.


'인재 블랙홀' 지위 차버린 트럼프…한국도 나선 인재 유치 경쟁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최근 '전문직 비자' 수수료를 10만 달러(약 1억 4천만원)로 100배 인상하는 등 해외 인재에 벽을 치면서 미국을 제외한 글로벌 인재 시장에 장(場)이 섰다.

각 국은 전세계 인재의 블랙홀이었던 미국이 스스로 그 지위를 걷어차버리면서 다시 올 수 없을지도 모르는 기회를 잡기 위해 해외 인재 유치에 혈안이 돼 있다.

영국 정부는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 우수 인재를 대상으로 비자 수수료를 전면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중국은 새로운 STEM 인재 비자인 'K비자' 제도를 다음달부터 도입하기로 했다.

미국행이 좌절된 해외 인재들의 제1 선택지가 조국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제3 국을 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국인 인재 역시 마찬가지다.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에 따르면 자국의 전문기술인재는 8천만명 이상이라고 한다. 해외에서 공부하거나 일하고 있는 인재는 제외한 수치이다.

이들 인재는 대부분 자국에서 일하는 것을 원하겠지만 날로 심각해지는 중국내 취업난과 과도한 경쟁, 체제에 대한 불만 등으로 인해 일부는 해외로 눈을 돌리기도 한다.

그들에게 가장 가까운 이웃이자 첨단 기술산업이 발전한 한국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22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번 비자 수수료 인상을 글로벌 이공계 인력 유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문한 배경이다.

외국인 차별·혐오로 번질게 뻔한 혐중 정서…누가 한국행 택할까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정책 의원총회에서 나경원 의원이 발언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정책 의원총회에서 나경원 의원이 발언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하지만 현재 한국의 현실은 글로벌 이공계 인력 유치의 '기회'는 커녕 소금을 뿌리고 있는 격이다. 12.3 내란사태를 계기로 한국내에 반중·혐중 정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내란 수괴 혐의로 구속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반중·혐중 정서에 불을 당겼고, 아직도 그를 추종하고 있는 보수 정치인들이 이를 확산 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한달 1~2건꼴이었던 반중·혐중 집회시위는 올해 3월 10건으로 늘어난 데 이어 지난달과 이달에는 각각 26건과 21건으로 급증했다.

일부 정치인은 심지어 29일부터 시행된 중국인 단체여행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까지 펴고 있다. 가뜩이나 내수가 얼어붙은 상황에서 돈을 쓰러 한국을 찾는 이들을 막아야 한다는 해괴한 주장이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27일 지난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에 장애가 발생하자 "철저한 대책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시작을 연기할 것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김민수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29일 무비자 시행으로 인한 '범죄조직 침투', '전염병 위험' 등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편승해 현재 SNS에서는 '인신매매', '장기매매' 등 각종 음모론도 확산되고 있다.

중국의 선거개입설을 뿌리로 하는 이런 반중·혐중 정서는 지금은 비록 중국인에 한정돼 있기는 하지만 언제든 중국인을 넘어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에 대한 인종차별과 혐오, 인권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 미국, 그리고 유럽 국가들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인을 포함해 미국행이 막힌 해외 인재 유치전에 뛰어들겠다는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