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민 기자지난 2023년 7월 15일 아침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참사.
끔찍한 이날 참사로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은 아물지 않은 상처를 안고 벌써 세 번째 추석을 맞는다.
2년이 흘렀지만 명절을 앞둔 유가족들은 먼저 떠나보낸 희생자들의 빈자리가 더욱 크게만 느껴지고, 아직도 희생자들의 억울함을 풀어주지 못해 죄스럽기만 하다.
유족과 생존자들은 그동안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했지만 최고 책임자들은 책임을 떠넘기기에 급급했고, 참사와 관련된 수사는 아직도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특히 정권이 바뀐 이후 국정조사를 통해 진상규명과 책임소재의 새로운 국면이 찾아왔지만, 여전한 지역사회의 분열과 갈등은 이들의 가슴을 아프게 만들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오송참사유가족협의회 이경구 공동대표는 "그간 검찰의 수사 소식도 감감무소식이었고, 재판도 너무 더뎌 답답함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며 "국정조사를 통해 알지 못했던 사실을 알게 되는 등 참사 피해자 입장에선 그나마 위안"이라고 말했다.
오송참사의 책임소재는 김 지사로 곧장 향했다.
범여권 의원들은 검찰로부터 불구속 기소 통보를 받은 김 지사에 대한 부실 수사 의혹을 집중적으로 추궁했고, 국회는 김 지사에 대한 재수사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긴 국정조사계획서를 여당 주도로 통과시켰다.
다시 공을 넘겨 받은 검찰은 수사에 누락된 부분이나 공판 등에서 새롭게 드러난 사실은 없는지 등을 살펴보면서 김 지사의 기소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충북도의회 제공지역사회 갈등도 여전히 앙금으로 남아있다.
도청 광장에 오송 참사 추모 조형물을 설치하겠다는 충청북도의 약속은 아직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
앞서 김 지사는 국정조사에서 참사 조형물을 두고 "반드시 임기 중에 관철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충북도의회는 지난달 16일 428회 2차 본회의에서 끝내 관련 예산 5천만 원을 모두 삭감했다.
더구나 도의회는 '국가적 추모 사업으로 건의하자'고 제안하는 등 책임을 엉뚱한 곳에 넘기려는 모습을 또다시 보여 유가족의 가슴에 지울 수 없는 큰 상처를 남겼다.
이경구 대표는 "우리의 외침에 응답하기까지 2년이 넘는 시간이 걸린 만큼 정부와 수사기관에 거는 기대도 크다"며 "국정조사로 밝혀진 것에 끝나지 않고 진상규명과 함께 책임자 기소도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