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양자컴퓨터 기반 만들었다"…노벨 물리학상 3인 과학자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미시 규모 였던 양자역학, 거시 규모로 끌어내"

7일(현지시간)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존 클라크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 미셸 드보레 미국 예일대 명예교수, 존 마티니스 미국 산타바바라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했다. 연합뉴스7일(현지시간)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존 클라크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 미셸 드보레 미국 예일대 명예교수, 존 마티니스 미국 산타바바라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했다. 연합뉴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양자역학을 연구한 존 클라크, 미셸 드보레, 존 마티니스 등 3인의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7일(현지시간)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존 클라크 미국 UC버클리 명예교수, 미셸 드보레 미국 예일대 명예교수, 존 마티니스 미국 UC샌타바버라 명예교수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거시적 양자역학적 터널링과 전기회로에서의 에너지 양자화의 발견의 공로가 있다"고 밝혔다.

이들의 연구는 원자 수준의 미시 규모에서 적용되는 양자역학의 효과를 전기회로 등 거시적 규모로 끌어냈다는 평을 받는다.

노벨위원회는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다음 세대의 양자 기술을 개발하는 데 기회를 제공해 줬다"며 양자 암호, 양자 컴퓨터, 양자 센서 등을 차세대 양자 기술의 예로 들었다.

그러면서 "물리학의 주요 질문 중 하나는 양자역학적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의 최대 크기"라며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은 전기 회로로 실험을 해서 '양자역학적 터널링'과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 양쪽 모두를 손에 쥘 수 있을 정도로 큰 시스템에서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의 실험이 1984년과 1985년에 이뤄졌다고 밝혔다.

수상자 중 한 명인 클라크 교수는 "내 인생에서 가장 놀라운 일"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클라크 교수는 노벨위원회의 발표 직후 전화 연결을 통해 기자들에게 이 같이 말했다.

클라크 교수는 "정말 깜짝 놀랐다"며 "우린 이것이 노벨상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전혀 해본 적이 없다"고 전했다.

클라크 교수는 자신들의 연구에 대해 "우리의 발견은 어떤 면에서는 양자 컴퓨팅의 기반이라 할 수 있다"며 "지금 당장 이게 어디에 해당하는지는 내게 아주 명확하진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이 통화중이던 휴대전화를 가리키며 "휴대전화가 작동하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이 모든 연구 덕분"이라고 했다.

클라크 교수는 함께 상을 받은 미셸 드보레 예일대 교수, 존 마티니스 UC 샌타바버라 교수에게 "그들의 공헌은 정말 압도적"이라고도 했다.

한편 수상자들은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4천만원)를 똑같이 나눠서 3분의 1씩 받게 된다.

노벨위원회는 전날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이날 물리학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8일에는 화학상, 9일 문학상, 10일 평화상, 13일 경제학상 수상이 이어진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