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김진태 강원지사 현안, 행정복합타운 '국감 쟁점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강원개발공사 김태헌 사장 증인 출석, 부채비율·사업 역량 집중 검증
춘천시와의 협의 난항, 사업 백지화하면 매몰비용 최소 166억 원 추산
강원도의회의원간 도청 춘천 외 지역 이전 요구까지

강원도청 신청사 설계공모 당선작 '모노리스'. 강원도 제공 강원도청 신청사 설계공모 당선작 '모노리스'. 강원도 제공 
2년 만에 열리는 강원도 국정감사에서 김진태 강원지사의 현안인 도청 신청사 및 행정복합타운 사업이 쟁점이 될 전망이다.

정치권 등에 따르면 오는 24일 강원도청에서 실시되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도청 신청사 건립 점검과 강원도와 춘천시간의 협의 지연으로 답보상태에 놓인 행정복합타운 사업에 의원들의 질의가 집중될 전망이다.

행정복합타운 조성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강원개발공사는 관련 자료 일체를 국회에 제출했으며 김태헌 사장이 국감 증인으로 출석한다. 부채비율이 높은 강원개발공사의 재정 건전성과 사업 추진 역량에도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국감 의원들은 고은리 행정복합타운 사업의 타당성과 함께 강원개발공사가 대규모 개발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실질적 능력이 있는지를 살필 것으로 전해졌다.
 
강원개발공사 부채비율은 김진선 전 도정 당시 추진했던 알펜시아 리조트 개발 여파로 2021년 말 902.4%를 기록한 뒤 2022년 700%, 2023년 712%로 높았다. 이후 자산 매각과 강원도의 현물출자 등으로 2024년 319.9%, 현재 205%대로 낮췄다.

도청 신청사 이전과 행정복합타운 조성의 주도권을 둘러싼 강원도와 춘천시의 갈등도 쟁점이다. 양측이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사업 장기 표류의 원인과 책임을 둘러싼 국회 여야간의 공방도 예고되고 있다.

해당 사업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인허가 승인권을 가진 춘천시의 최종 허가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도청 신청사는 이미 네 차례째 '교통영향평가' 보완 결정을 받았고 행정복합타운 사업 역시 두 차례 '지구지정 제안' 보완 요청 끝에 반려된 상태다.

두 사업이 백지화할 경우 발생할 매몰비용은 최소 166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13일 열린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제341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는 도청 신청사 이전지를 타 지역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박기영 의원(국민의힘·춘천)은 "강원자치도가 제안한 협의체 구성에 춘천시가 적극 참여해 도청 이전과 행정복합타운의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세부 사항을 긴밀히 논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이한영 의원(국민의힘·태백)은 "폐광이나 접경지역처럼 낙후된 지역이라면 도청 신청사 이전을 쌍수를 들고 환영할 것"이라며 사업지 이전 검토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기홍 의원(국민의힘·원주)은 "도와 춘천시가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면, 50만 메가시티 실현을 위해 원주를 도청 신청사 최적지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