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단적 사상을 배격하고 정통 기독교 신앙의 핵심을 담은 '니케아신경'이 제정된 지 올해로 1700주년을 맞았습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총회가 니케아신경에 담긴 신앙고백을 되새기는 기념강좌를 다음달에 개최합니다.
장세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고려신학대학원과 고려교부학서원이 15일 천안 고려신학대학원에서 '니케아신경 1700주년 기념강좌' 기자간담회를 열고 있다. 장세인 기자[기자]
서기 325년, 로마 제국에서는 '예수는 신인가 인간인가'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아리우스는 예수를 신이 아닌 피조물이라 주장했고, 이에 아타나시우스는 그 사상을 '이단'이라며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이 논쟁을 매듭짓기 위해 소아시아의 니케아, 현재 튀르키예에서 동방과 서방의 교회 대표가 참석하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했습니다.
그 자리에서 채택된 신앙고백이 바로 니케아신경입니다.
성부와 성자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이 선언은 이단 사상을 배척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지켜낸 첫 공식 신앙고백이었습니다.
[녹취] 기동연 원장 / 고려신학대학원
"니케아공의회에서 결정한 니케아신경은 사실상 사도신경과 아타나시우스 신경과 더불어서 우리가 믿고 있는 성삼위 하나님에 대한 신앙이 완성된 그런 중요한 대의입니다. 그걸 기반으로 해서 우리 교회가 세워지고 유지되고 있는데…"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총회는 니케아신경 1700주년을 기념해 고려신학대학원 주최, 고려교부학서원 주관으로 다음 달 6일 고려신학대학원에서 기념강좌를 엽니다.
주제는 '니케아신경, 우리의 고백'.
신학적 의미와 교회사적 가치, 그리고 오늘날 교회가 잃어버린 신앙고백의 의미를 되새깁니다.
한국정교회 암브로시우스 조성암 대주교, 장신대 서원모 교수, 성공회대 차보람 교수 등 동서 교회를 아우르는 신학자들이 강사로 나섭니다.
[녹취] 이충만 교수 / 고려신학대학원
"더욱이 사도신경이 서방교회의 고백이었던 것과는 달리 니케아신경은 서방교회 뿐만 아니라 동방교회까지 온 교회가 325년 이후 1700년 동안 함께 고백한 유일한 보편신조입니다. 하여 니케아신경을 제외하고 기독교역사를 말할 수 없음을 그 교회사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합니다."
주최 측은 니케아신경의 신앙고백이 고신교단 신앙의 정체성과 닮아있다며 이번 강좌가 신앙의 뿌리를 다시 확인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김재윤 원장 / 고려교부학서원
"예수가 하나님이라는 고백이 로마 제국에서 살아가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사실 핍박과 순교를 의미했습니다. 저는 일제시대 하에 하나님만이 우리의 유일한 하나님이라는 고백과 이 예수 그리스도가 참되신 하나님이라는 고백은 이런 점에서 핍박과 순교의 언어였다는 점에서 (고신교단과) 공통점이 있다고 보거든요."
1700년 전, 혼란 속에서 교회를 하나로 세웠던 니케아신경의 고백을 통해 지금의 교회가 어떤 신앙 위에 서 있는지 다시 되묻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CBS뉴스 장세인입니다.
[영상 기자 정용현] [영상 편집 서원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