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기획]AI 시대, 교회에 묻다 ⑦ "AI 세상에서 작은 교회 생존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편집자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은 교회와 성도들의 일상에 수많은 질문을 던지고 있다. CBS는 AI 시대에 교회가 마주하게 될 질문과 이에 대한 신학적, 실천적 해답을 모색해보는 기획보도 'AI 시대, 교회에 묻다'를 통해 미래 교회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자 한다. 오늘은 일곱 번째 순서로 "AI 세상에서 작은 교회 생존은?"이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모색해본다.

AI 기술 발전 큰 교회 쏠림 우려돼
작은 교회에 기회가 될 수 있단 반론도
AI 활용 분야와 방법도 다양해져
온라인 신앙 콘텐츠 제작도 손쉽게
AI 시대 변화 이해와 접목 노력 필요

▶ AI 시대, 교회에 묻다 - 기술과 신앙의 조화, 그 해답은?
① "AI가 작성해 준 기도문, 진정한 기도일까?"
② "설교 준비에 AI의 도움, 어디까지 허용될까?"
③ "설교하는 AI, 목회자에게 닥친 도전은?"
④ "AI가 기독교 신앙을 왜곡한다면?"
⑤ "AI가 준 위로에 눈물, 신앙 상담의 미래는?"
⑥ "AI가 교회를 운영한다면?"
⑦ "AI 세상에서 작은 교회 생존은?"
(계속)


[앵커]
 
대형 교회와 작은 교회의 격차는 한국교회의 오랜 과젭니다.
 
인공지능 AI 기술의 등장은 이 격차를 더 벌릴 수도, 혹은 좁힐 수도 있는 중요한 변수로 떠올랐습니다.
 
CBS가 마련한 기획보도 'AI 시대, 교회에 묻다'.
 
오늘은 일곱 번째 순서로, "AI 세상에서 작은 교회 생존은?"라는 질문으로 작은 교회가 마주한 AI의 도전과 기회를 생각해봅니다.
 
최창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적한 시골,
 
새벽기도를 마친 작은 교회 목회자가 이른 아침부터 주석을 뒤적이고, 예화를 찾아가며 주일 설교문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곽명수 담임목사 / 전남 구례 간전제일교회]
"아무래도 연세가 많으신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설교를 해야 되기 때문에 본문 전체 흐름이나 또 단어 하나하나를 우리 어르신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전남 구례 간전제일교회 곽명수 담임목사가 '어르신 성경학교'에서 성도들과 함께 몸으로 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곽명수 목사 제공전남 구례 간전제일교회 곽명수 담임목사가 '어르신 성경학교'에서 성도들과 함께 몸으로 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곽명수 목사 제공주보를 만들고, 교회 행사 준비까지 행정 업무에 드는 시간과 자원의 한계는 작은 교회 목회자에게 늘 무거운 짐입니다.
 
AI 기술 발전으로 설교와 성경공부 등 고품질 온라인 콘텐츠 제작이 가능해지면서 작은 교회는 더욱 설자리가 좁아지고 있습니다.
 
[장재호 교수 / 감리교신학대학교 종교철학]
"기술이 발전하는 시대가 오면 당연히 큰 교회에 쏠림 현상이 압도적으로 늘어나게 될 것이고 작은 교회들은 그에 따라서 더 어려워지게 될 텐데 교회도 큰 교회를 중심으로 재편된다고 했을 때 작은 교회와 어떻게 상생할 것인가."
 
반면 AI 기술이 작은 교회에 기회의 장을 열어줄 것이란 의견도 많습니다.
 
행사 포스터 제작과 교육 프로그램 구성 등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던 작업을 이제는 간단한 프롬프트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진민경 목사 / 평화교육센터 평화아이뚜비뚜바대표]
"소형교회들의 경우, 특히 도시가 아닌 지방의 경우는 콘텐츠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아요. 그런데 AI를 활용한다면 풍부한 자료를 얻을 수 있거든요."
 
[구요한 대표 / 커맨드스페이스]
"여름성경학교 기획을 해야하는데 어떤 아이디어가 나올지 몰라 굉장히 고민되던 사람들도 인공지능과 함께 기획을 하면 교회의 이야기를 주면서 기획서를 만들 수 있는 거죠."
 
작은 교회가 AI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와 방법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AI 그래픽 도구에 무표정한 얼굴 사진을 넣었더니, 없던 잇몸이 그려지고 활짝 웃는 영정사진을 만듭니다.
 
[김종현 담임목사 / 경북 경주 새중앙교회]
"아버지의 영정 사진을 살짝 잇몸이 드러나서 미소 짓는 모습으로 바꾸어서 보여줬더니 그 목사님이 눈물을 흘리시면서…."
 
AI 기술은 교제와 돌봄은 물론 온라인 신앙 콘텐츠 제작 등 전도의 도구로도 손색 없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AI 아바타 만들기 등 신앙 콘텐츠 제작 시연 스케치]
 
[안종배 회장 / 국제미래학회]
"어떤 말씀을 가지고 콘텐츠화시켜서 사람들한테 전달하면 복음을 전하고 사람들에게 감동을 느끼게 끔 해서 회심으로 가게하는 징검다리."
 
[우동진 목사 / 크로스로드 AI교육연구소 대표]
"AI로 숏츠를 만들었어요. 그것을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시작했어요. 놀라운 것은 뭔지 아십니까. 하마스 군인이 저에게 친구 요청을 해왔어요. AI를 활용하면 경계가 무너져서 AI를 통해 복음 증거할 수 있고…."
 
AI 도구를 적재적소에 잘 활용한다면 목회 활동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라인 신앙공동체 등장 등 디지털 시대의 변화를 이해하고 접목하는 노력은 목회자 스스로 끊임없이 감당해야 할 몫입니다.
 
[김효숙 박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교수]
"에클레시아 교회(제도적 교회)가 지금까지는 다음세대 교육을 탄탄하게 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제는 AI와 함께 자라는 세대를 우리가 끌어안기 위해서는 코이노니아의 균형을 이룰 필요가 있다."
 
[김수환 교수 /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대상, 콘텐츠, 지역 각각의 특성에 맞춘 케어가 가능한, 영적인 지도가 가능한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면 그 다양성이 AI 시대에는 더 많은 사람들의 니즈를 충족해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거라고 생각해요."
 
한국교회가 인공지능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해 AI 리터러시 교육이나 구독 지원 등 작은 교회를 위한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CBS뉴스 최창민입니다.
 
[영상 기자 이정우 정용현 정선택 최내호] [영상 편집 이민]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