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지나치게 세분된 요금 체계를 단일화한 '통합 요금제'를 연내 출시할 움직임으로 보이고 있다. 복잡한 요금제 구조가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진 데 따른 조치다.
1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통신 3사가 운영 중인 이동통신 요금제는 총 718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실제로 가입이 가능한 요금제는 251개에 불과하다.
과기부는 복잡한 요금 구조를 단순화해 소비자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요금 개편을 추진 중이다. 새 통합 요금제는 5G·LTE 기술 방식을 구분하지 않고 데이터 용량이나 전송 속도에 따라 요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특히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LTE 요금제가 5G보다 비싸다는 '바가지 요금제' 논란이 제기된 이후 통신사들이 일부 LTE 요금제의 신규 가입을 중단하면서 소비자 혼란이 커졌다. 이에 정부는 통신 3사와 협의를 거쳐 요금제를 간소화하고, 합리적인 선택이 가능한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마무리 작업에 들어간 상태다.
최수진 의원은 "통신 3사의 요금 체계가 지나치게 복잡한 만큼, 5G와 LTE 구분이 없는 통합 요금제 시행으로 가계 통신비를 줄이고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