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 여행객 등이 출국장을 오가고 있다. 인천=류영주 기자최근 몇 년 간 캄보디아로 갔다가 돌아오지 못한 한국인이 매년 2천~3천명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캄보디아에서 범죄에 연루돼 감금·사망한 한국인이 크게 늘었다는 점에서 상당수가 이와 관련이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 된다.
20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을 기점으로 한국인의 캄보디아 출국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2021년 대비 2022년은 출국자 3만 130명, 2023년은 4만 8772명, 2024년은 1만 6442명이 추가로 증가해 매년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기간 미귀국자 역시 2022년 3209명, 2023년 2662명, 2024년 3248명으로 수천 명대에 달하며 과거 수백 명 수준이던 격차가 전례 없이 벌어졌다.
베트남·태국 등 인접국을 경유한 입국까지 감안하면 현지 체류 한국인은 공식 통계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캄보디아 관광부 통계에서도 한국 국적 입국자는 2021년 6074명에서 2022년 6만 4040명, 2023년 17만 171명, 2024년 19만 2305명, 2025년(1~7월) 10만 6686명으로 급증했다.
18일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에서 캄보디아에서 범죄에 가담했다가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64명이 국내로 송환돼 입국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인천공항=황진환 기자이렇게 귀국하지 않은 한국인 중에는 사업, 이민 등의 일반적인 사례가 있겠지만, 보이스 피싱 등 범죄조직에 몸을 담으면서 귀국하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지에서는 캄보디아 범죄단지에 있는 한국인이 2천~3천명에 달할 것이란 분석도 나오지만, 범죄단지와 연관이 있는 한국인 숫자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박찬대 의원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현지 증언대로라면 아직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들이 많이 있는 것 같다"라며 "개별 출입국 기록과 영사·경찰 자료를 정부 차원에서 전면 대조해 미복귀자에 대한 재점검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범죄 확산의 배경에는 현지의 치안 약화가 자리하고 있다. 국제평화연구소(IEP)의 2025년 세계평화지수(Global Peace Index)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87위로 전년 대비 12계단 하락했고, 글로벌 범죄 지수(Numbeo, ASEAN Crime Index 2025)에서도 범죄율 51.3%로 동남아 1위를 기록했다. 법 집행 미비와 범죄 외부 유입이 겹치며 치안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