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김아영, 뉴욕현대미술관에서 美 첫 개인전 '딜리버리 댄서 코덱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딜리버리 댄서(Delivery Dancer)' 3부작 전체, 美에서 처음 선보여
현대카드와 뉴욕현대미술관 공동 진행 '큐레이터 교류 프로그램' 성과물
MoMA PS1 3층 갤러리 전관, 2026년 3월 16일까지

김아영, '딜리버리 댄서의 구', 단채널 영상, 약 24분. (2022).갤러리현대 제공김아영, '딜리버리 댄서의 구', 단채널 영상, 약 24분. (2022).갤러리현대 제공
국내외를 넘나들며 활발히 활동 중인 미디어 아티스트 김아영의 미국 첫 개인전 《딜리버리 댄서 코덱스(Delivery Dancer Codex)》가 6일부터 뉴욕현대미술관 PS1(MoMA PS1)에서 열린다.

MoMA PS1은 가장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동시대 미술을 소개하는 공간으로, 3층 갤러리 전관에 김아영 작가의 대표작인 '딜리버리 댄서(Delivery Dancer)' 3부작 전체를 미국에서 처음으로 선보인다.

전시 제목의 '코덱스(Codex)'는 고대의 타블렛형 책, 중세의 양피지를 엮은 서책의 형식을 가리키는 동시에, 여러 규약과 정보를 모은 경전, 게임 문화에서의 설정집, 현대 프로그래밍 문화에서 코드 모음집의 의미를 중첩한 개념으로 '딜리버리 댄서'라는 상징적 인물을 통해 긱 이코노미(임시직 경제)와 플랫폼 노동, 가능세계론과 양자물리학 등을 탐구해 온 작가의 궤적을 조명한다.

전시는 <딜리버리 댄서의 구>, <딜리버리 댄서의 선: 0°의 리시버>, 그리고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MoMA PS1의 3층 전시장 전관을 가득 채우는 대규모 설치로 선보인다.

특히 국립아시아전당(ACC) 미래상 수상작으로 처음 공개된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는 3채널 영상 설치를 비롯해 해시계 조형물, 달력 그래픽 시트, 그리고 조명 동기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한 전 설치가 상당 부분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재구성되어 선보인다. 이밖에도 2022년 갤러리현대 개인전 《문법과 마법》에서 선보여 화제를 모았던 <다시 돌아온 저녁 피크 타임>, <궤도 댄스> 연작, <고스트 댄서 A & B>, <약정> 등 작가의 다채로운 작품 세계를 대표하는 주요 작품들이 함께 전시된다.

김아영, '다시 돌아온 저녁 피크 타임', 월페이퍼 시트지 설치, 2055 x 289cm (가변크기)(2022). 《문법과 마법》 전시 전경 이미지, 갤러리현대, 서울(2022). 갤러리현대 제공김아영, '다시 돌아온 저녁 피크 타임', 월페이퍼 시트지 설치, 2055 x 289cm (가변크기)(2022). 《문법과 마법》 전시 전경 이미지, 갤러리현대, 서울(2022). 갤러리현대 제공
아울러 전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8일 열리는 아티스트 토크에서는 김아영 작가가 루바 카트립(Ruba Katrib) MoMA PS1 수석 큐레이터, 평론가 던 첸(Dawn Chan)과 함께 작품 세계에 대해 대담을 나눌 예정이다.

김아영은 비디오, 미디어 설치, 사운드, 퍼포먼스, 텍스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불가항력에 저항하거나 그로부터 빗나가는 존재들에 대해 작업해 온 미디어 아티스트다. 한국인 최초로 'LG 구겐하임 어워드'의 수상자로 선정되며 미디어 아트의 최전선에 선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미디어 아티스트 김아영. 갤러리현대 제공미디어 아티스트 김아영. 갤러리현대 제공
올해 초 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 개인전 《플롯, 블롭, 플롭》을 성공적으로 개최한데 이어, 독일을 대표하는 국립현대미술관 함부르거 반호프 미술관에서 독일 첫 미술관 개인전 《Ayoung Kim: Many Worlds Over》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국제국립미술관, 오사카; 코펜하겐 컨템포러리, 코펜하겐; 테이트 모던, 런던; 모리미술관, 도쿄 등 세계 유수 기관의 기획전에 연이어 참여하며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번 전시는 현대카드와 뉴욕현대미술관이 함께 만든 '큐레이터 교류 프로그램'의 결실로 이뤄졌다. 이 프로그램은 뉴욕현대미술관의 큐레이터가 우리나라를 방문해 한국 미술과 작가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동시에 우리나라의 미술 전문가들이 뉴욕현대미술관을 찾아 상호 교류와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김아영, '고스트댄서 A', 헬멧, 영상, 태블릿, 전선, 주름관, 체인, 가변 크기, 1분 40초. (2022) 《문법과 마법》 전시 전경 이미지, 갤러리현대, 서울(2022). 갤러리현대 제공김아영, '고스트댄서 A', 헬멧, 영상, 태블릿, 전선, 주름관, 체인, 가변 크기, 1분 40초. (2022) 《문법과 마법》 전시 전경 이미지, 갤러리현대, 서울(2022). 갤러리현대 제공
현대카드와 뉴욕현대미술관은 지난 20여년간 전시 후원과 개최는 물론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긴밀히 협력해 왔다. 뉴욕현대미술관의 주요 전시를 50여차례 단독 후원했고, 미술사 연구와 행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을 강화해 한국 예술계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발판도 마련했다.

이번 전시 역시 지난해 큐레이터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방한한 PS1의 수석 큐레이터 루바 카트립이 광주비엔날레에서 김아영의 작업을 보고 제안했다.

김아영 작가는 "미국에서의 첫 개인전을 후원해 준 현대카드에 큰 감사를 전한다"며 "많은 예술가들이 기업의 예술 후원에 힘입어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등에 업고 이전 세대 선배님들보다 훨씬 수월한 환경에서 활동을 펼칠 수 있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전시는 2026년 3월 16일까지 열린다.

김아영, '궤도 댄스 3시', 황동, 니켈, 슈퍼미러, 35 x 35 x 16.6 cm(2022). 갤러리현대 제공김아영, '궤도 댄스 3시', 황동, 니켈, 슈퍼미러, 35 x 35 x 16.6 cm(2022). 갤러리현대 제공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