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지역 국립대병원들이 정부가 추진 중인 국립대병원 소관 부처 이관에 대해 반대 입장을 냈다.
국립대병원협회 지역필수의료강화 TF는 10일 입장문을 통해 "현재까지 상황에서 우리 9개 국립대병원은 교육부에서 복지부로의 이관에 반대한다"며 "소속 교수 대부분이 이관에 반대하고 있고 교육 연구 기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주된 이유"라고 밝혔다.
입장문에는 전국 10개 국립대병원 중 서울대병원을 제외한 강원대·경북대·경상국립대·부산대·전남대·전북대·제주대·충남대·충북대병원(이상 가나다순)이 이름을 올렸다.
협회는 지난 4~6일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9개 지역 국립대병원 교수 106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79.9%에 부처 이관에 반대했다고 전했다. 지난 9월 실시한 설문의 반대 응답률 73%에서 더 늘어났다.
협회는 "부처 이관을 강행할 경우 지역·필수·공공 의료 강화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부처 이관이 거꾸로 지역·필수·공공 의료 서비스 역량 저하로 귀결될 수 있다"며 "복지부는 지금 당장 장관께서 약속하신 종합계획과 로드맵 수립을 위한 조건 없는 의정대화에 응하라"고 촉구했다.
협회는 지역필수의료 강화 방안으로 전국 국립대병원을 지역거점국립대와 함께 지역균형 발전의 양대 축으로 삼는 '서울대병원 10개 만들기' 프로젝트 추진 등을 제안했다.
지역 국립대병원들과 달리 서울대병원의 경우 소관 부처 이관을 위해서는 서울대병원설치법 개정이 필요한데, 서울대병원도 복지부 이관에 부정적다.
국립대학병원협회장이기도 한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의정사태가 마무리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관을 서두르는 것이 우려스럽다"고 답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