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인사동 20년 이웃, 벽을 허물다…'문자와 가구' 展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갤러리 윤과 고미술 단청, 함께 전시…25일까지
인사동의 전통을 잇고, 현대의 감각으로 확장하는 아름다운 '동행'
윤범모 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기획
김창열, 이응노, 남관, 박대성, 김25, 우영숙, 최서원, 홍경택 작품과 고가구, 조화롭게 어우러져

고미술 단청의 신소윤 대표와 갤러리 윤 윤용철 대표가 전시장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곽인숙 기자고미술 단청의 신소윤 대표와 갤러리 윤 윤용철 대표가 전시장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곽인숙 기자
"20년 넘게 같이 있었는데 한 번도 다퉈 본 적이 없어요. 건물이 헐리면서 저는 이제 강남으로 가려고 결정을 내렸는데 마침 여기가 비어서 이유 대지 말고 두 사람 같이 갑시다, 이걸 둘이서 나누자 그래서 같이 이사왔습니다. "
갤러리 윤 윤용철 대표


"평상시에는 문을 닫아요. 그래서 완벽하게 두 공간인데 이렇게 문을 열어서 한 공간을 만들자 하고 인테리어까지 했는데 그 얘기를 듣고 윤범모 전 관장님께서 전통과 현대를 어우를 수 있는 기획을 한번 해볼까 하셔서 전시를 하게 됐어요."
고미술 단청 신소윤 대표


한국 예술 문화의 심장인 서울 종로구 인사동의 두 터줏대감이 한 곳에 둥지를 텄다.

20년 넘게 옆집 이웃으로 지내던 두 대표가 한 공간을 나눠 함께 지내게 됐다.

인사동을 떠나보려던 윤 대표는, 현 인사전통문화보존회장으로 인사동을 떠날 수 없는 신 대표와 함께 인사동을 계속 지키게 됐다.

"인사동을 떠나지 않고, 전통과 현대, 그리고 미래를 잇는 삶의 공간으로 다시 세워가겠다"고 입을 모은 두 대표는 벽을 튼 채 인사동 새로운 공간에서 '문자와 가구' 展(전)을 열었다.

두 대표는 벽을 튼 채 인사동 새로운 공간에서 '문자와 가구' 展(전)을 열었다. 곽인숙 기자두 대표는 벽을 튼 채 인사동 새로운 공간에서 '문자와 가구' 展(전)을 열었다. 곽인숙 기자
윤 대표는 "인사동은 단순한 상업 공간이 아닌, 전통과 현대 예술이 공존하는 문화 생태계"라며 "이번 전시는 과거의 예술 정신을 오늘의 언어로 새롭게 풀어낸 '창작의 접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갤러리 윤'은 현대 서양화를 중심으로 한 전시와 감정 활동을 전개하며 동시대 미술의 흐름을 선도해온 공간이다.
 
윤용철 대표는 한국화랑협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화랑협회 감정이사 및 동서양화 감정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인사동에 터를 잡은 그는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미술품 진위감정과 시가감정 분야의 전문성을 쌓아왔으며, 국내 감정 제도의 신뢰를 세운 인물로 평가받는다.

함께 전시를 여는 고미술 단청의 신소윤 대표는 인사동에서 40여 년간 활동하며 전통예술의 결을 지켜왔다.

도자기를 그린 박대성의 작품은 고가구와 조화롭다. 곽인숙 기자도자기를 그린 박대성의 작품은 고가구와 조화롭다. 곽인숙 기자
현재 인사전통문화보존회 회장인 신 대표는 예술의 거리로서의 인사동의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TV 프로그램 '진품명품' 감정위원으로도 유명하다.

신 대표는 이번 전시를 준비하며 이렇게 말했다.

"인사동은 제게 단순한 근무지가 아니라, 사람의 기억과 시간이 쌓인 문화의 집입니다.
전통은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지금 우리의 감각 속에서 살아 있는 존재입니다.
이번 전시는 인사동을 사랑하고, 지켜온 사람들의 작은 연대의 결과이자
그 정신을 새롭게 해석한 시도입니다."


또한 "갤러리 윤과 단청이 같은 공간에서 함께 전시를 연 것은 서로의 예술 세계를 존중하면서 인사동의 내일을 함께 그리기 위한 선택"이라며 "문화는 나누고 이어질 때 살아난다"고 덧붙였다.

홍경택의 작품과 조선시대 이층농. 곽인숙 기자홍경택의 작품과 조선시대 이층농. 곽인숙 기자
두 대표는 인사전통문화보존회 회장의 전·현직 회장으로서 오랜 세월 인사동의 발전을 위해 전력을 쏟아왔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이전 행사가 아니라, 인사동의 전통적 뿌리를 오늘의 감각으로 이어가는 '살아 있는 예술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상징한다.

'문자와 가구' 展은 글자의 조형성과 생활의 미학을 결합해 한국 미학의 본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시도를 담고 있다.

이응노의 작품과 조화를 이루는 반닫이. 곽인숙 기자이응노의 작품과 조화를 이루는 반닫이. 곽인숙 기자
문자는 인간의 정신을, 가구는 삶의 구조를 상징하며 두 요소가 만나 시간과 기억, 사유의 공간을 형성한다.

김창열의 작품과 어우러진 조선시대 문갑.

김창열의 작품과 어우러진 조선시대 문갑. 곽인숙 기자김창열의 작품과 어우러진 조선시대 문갑. 곽인숙 기자
이응노의 작품과 조화를 이루는 반닫이.

책을 형상화한 최서원의 작품과 작은 서랍장 위 필통, 필기구.

조선 시대 문갑과 약상, 귀한 자재로 만든 약장.

전시장 한 켠에 차려진 사랑방에는 조선시대 문자도 병풍에 용을 그려넣은 백자와 의걸이 장 등 각종 고가구가 놓여있다.

전시장 한 켠에 차려진 사랑방에는 조선시대 문자도 병풍에 용을 그려넣은 백자와 의걸이 장 등 각종 고가구가 놓여있다. 곽인숙 기자전시장 한 켠에 차려진 사랑방에는 조선시대 문자도 병풍에 용을 그려넣은 백자와 의걸이 장 등 각종 고가구가 놓여있다. 곽인숙 기자
도자기를 그린 박대성의 작품은 고가구와 조화롭게 어울린다.

문자를 이용한 '파도의 화가' 김25의 작품도 조선시대 삼층장과 한 화면을 이룬다.  

김25의 작품도 조선시대 삼층장과 한 화면을 이룬다. 곽인숙 기자김25의 작품도 조선시대 삼층장과 한 화면을 이룬다. 곽인숙 기자
기획은 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인 윤범모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가 맡았다.

"실제 와서 보니 더 좋다"는 윤범모 대표이사는 "문자와 가구의 정겨운 동행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며 "통섭의 시대에 전통과 현대의 결합이고, 회화와 공예의 결합이고, 성격이 다른 이웃과의 결합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25일까지 인사동 갤러리 윤, 고미술 단청(광능빌딩 1층)에서 열린다.

책을 형상화한 최서원의 작품과 작은 서랍장 위 필통, 필기구. 곽인숙 기자책을 형상화한 최서원의 작품과 작은 서랍장 위 필통, 필기구. 곽인숙 기자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