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경찰, 'KT 해킹' 조사 방해 의혹 압수수색 9시간 만에 종료(종합)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KT 판교·KT DS 방배 등 3곳 압색…정보보안실장 입건
소액결제 해킹 유도한 일당 11명 검거…중국 상선 추적
피해 220명·1억 4천여만 원, 불법 장비 2차 검증 진행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의 모습. 류영주 기자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의 모습. 류영주 기자
경찰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접수한 KT의 허위 자료 제출·증거은닉 의혹 사건의 서버 폐기 증거 등을 확보하기 위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19일 오전 9시쯤부터 진행한 성남 판교 KT 사옥과 서울 서초구 방배동 KT DS 사옥 등 3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이날 오후 6시 30분쯤 마무리한다고 밝혔다.

경찰은 수사관 20여 명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이번 사건의 총괄자라고 할 수 있는 황태선 KT 정보보안 실장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했다. 경찰은 "현재까지 입건 대상자는 유동적으로, 자세한 수사 상황은 밝힐 수 없다"고 답변했다.

경찰은 KT의 서버 폐기 의혹에 대한 원격 상담 시스템 관련 자료와 해킹 대응 자료 등을 확보해 자세한 사건 경위를 조사할 방침이다.

서울 시내의 한 KT대리점의 모습. 류영주 기자서울 시내의 한 KT대리점의 모습. 류영주 기자
앞서 지난 8월 미국의 보안 전문 매체 '프랙' 등에서 KT 서버 해킹 가능성이 제기된 이후 KT 측은 서버를 폐기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KT 서버 해킹 사태를 조사 중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와 관련해 지난달 2일 KT에 관한 수사 의뢰를 경찰에 요청했다.

한편, 현재까지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해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관련자 11명을 검거하고 이 중 5명을 구속 상태로 검찰에 넘겼다.

현재 경찰은 민관합동조사단과 범행에 사용된 불법 통신 장비에 대해 검증을 진행하며 구체적인 작동 방식 등에 관해 확인하고 있다.

장비는 27개의 네트워크 장비 개별 부품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있으며, 부품 1개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인 '펨토셀'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찰은 지난달 이 장비에 대한 1차 검증을 마친 데 이어 최근 2차 검증을 완료했다.

KT가 해킹 피해 후속 대책으로 전 가입자를 대상으로 무상 유심 교체를 시행한 5일 서울 시내 한 KT 대리점에서 직원들이 무료 유심 교체 서비스 시행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KT가 해킹 피해 후속 대책으로 전 가입자를 대상으로 무상 유심 교체를 시행한 5일 서울 시내 한 KT 대리점에서 직원들이 무료 유심 교체 서비스 시행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
경찰은 민관합동조사단으로부터 2차 검증 결과를 회신받는 대로 이를 앞선 1차 검증 결과와 대조하며 해킹 양상 등을 분석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경찰은 앞선 불법 통신 장비 검증 과정에서 범행에 쓰인 것으로 알려진 기지국 아이디(셀 아이디)가 애초 알려진 4개 외에 여러 개 더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압수한 것 외에 다른 장비가 더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다.

사건을 주도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의 상선을 검거하기 위한 수사도 이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이 사건과 관련해 피의자들이 "중국에 있는 윗선의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한 가운데 경찰은 중국 등에 국제공조 요청을 검토하고 있다.

최근까지 경찰이 접수한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피해자는 220명으로, 피해액은 1억 4천여만 원에 달한다.

지역별 피해자 수는 경기 광명시가 124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일산과 과천, 부천, 서울 금천, 동작, 서초, 인천 부평 등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피해 접수가 이뤄졌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