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들이 제주를 찾아 건강주치의 시범사업과 제주가치돌봄 현장을 둘러봤다. 제주도 제공국회의원들이 제주에서 건강주치의 시범사업과 제주가치돌봄 현장을 잇따라 찾았다.
국회 '건강과 돌봄 그리고 인권포럼'(대표 이수진 의원)과 '저출생 축소사회 대응포럼'(대표 백혜련 의원) 의원 9명은 22일 서귀포시 통합돌봄지원센터에서 현장 간담회를 갖고 제주의 통합돌봄 모델을 확인했다.
제주의 통합돌봄은 지난 2023년 10월 출범한 '제주가치돌봄'이 핵심으로, 돌봄이 필요한 도민 누구나 살던 곳에서 계속 살 수 있도록 집안일을 비롯해 방문목욕과 식사지원, 동행지원 등 9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이다.
출범 2년 만인 올해 10월 말 현재 이용자 1만 2301명을 기록했고 참여 민간기관도 초기 13곳에서 35곳으로 늘어났다.
이날 간담회가 열린 서귀포시 통합돌봄지원센터는 제주형 통합돌봄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는데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돌봄 공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계됐다.
건강·복지·주거·정신건강 등을 통합 연계한 노인 돌봄 서비스로, 870명이 센터를 이용했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간담회에서 "제주가치돌봄 정책을 보완하고, 중앙정부, 국회와 긴밀히 협력해 누구나 돌봄으로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제주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앞서 국회 포럼 의원들은 21일 제주도청에서 제주형 건강주치의와 응급의료 전달체계 구축 간담회를, 오후에는 서귀포시 국세공무원교육원에서 저출생 고령사회 대응 간담회를 가졌다.
제주형 건강주치의는 도내 16개 의료기관을 지정해 65세 이상 노인과 12세 이하 도민을 대상으로 건강평가, 만성질환 관리, 방문진료 등 10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시작 한 달여 만에 등록인원이 2000명을 넘기는 등 주민 호응이 높다.
응급의료 분야에서는 2024년 2월 제주응급의료지원단 출범 이후 소방과 6개 종합병원 협업을 통해 '응급실 뺑뺑이' 사망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고 응급실 대기시간도 2023년 43.3분에서 2024년 20.8분으로 절반 이상 단축됐다.
국회의원들은 건강주치의 제도가 지역 커뮤니티가 긴밀한 곳에서 더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만큼 제주도의 성공 사례를 전국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적극 협력하고 최근 국회를 통과한 필수의료 강화법, 전공의 처우 개선법, 지역의사 제도법 등이 제주의 건강주치의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돕겠다고 약속했다.
국회 포럼은 제주의 선제적 복지정책을 바탕으로 저출생 고령사회에 대비한 현장 중심의 세제·세정 지원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