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통합대학 출범 D-4개월…강릉원주대 구성원, '특례 기준' 마련 지연에 반발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강원대·강릉원주대 2026년 3월 통합대학 출범 목표
"강원대가 공정한 특례 기준 마련에 적극 나서야"

강릉원주대학교 내에 게시된 현수막. 강릉원주대 교수회 제공강릉원주대학교 내에 게시된 현수막. 강릉원주대 교수회 제공
강원대학교와 강릉원주대학교의 통합대학 출범을 불과 4개월 앞둔 가운데, 정원·승진·인사 등 핵심 운영 원칙이 될 '특례 기준'이 여전히 마련되지 않아 강릉원주대 구성원들의 우려와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24일 강릉원주대 공무원노조와 대학노조 등에 따르면 강릉원주대와 강원대가 추진 중인 '1도 1국립대학 통합(글로컬대학 3.0 사업)'은 오는 2026년 3월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통합 이후 대학 운영의 제도적 기반이 될 특례 기준이 지연되고 있다.

특례 기준은 통합 후 양 캠퍼스의 인사 체계, 조직 운영, 정원 배분 등 핵심 사안을 규정하는 요소로, 교육부 역시 조속한 마련을 요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통합대학의 본부 역할을 맡게 될 강원대가 기준 마련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오며 강릉원주대 구성원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강릉원주대 구성원들은 "공정하고 상식적인 기준이 마련되지 않으면 기존 캠퍼스의 자율적 운영권이 약화되고 지역사회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특례 기준을 즉시 확정하라"는 입장이다.

강릉원주대학교 내에 게시된 현수막. 강릉원주대 교수회 제공강릉원주대학교 내에 게시된 현수막. 강릉원주대 교수회 제공
이와 관련해 강릉원주대 교수회, 공무원노동조합, 대학노동조합, 조교협의회 등 주요 단체도 교내 곳곳에 현수막을 게시하는 등 공동 입장을 내고 강원대의 태도를 비판하고 나섰다.

강릉원주대 교수회 한갑수 회장은 "통합대학 출범이 임박했음에도 운영 방향이 여전히 불명확하다"며 "특히 본부 기능을 맡게 될 강원대가 여러 이유를 들어 특례 기준 마련에 비협조적"이라고 일침했다.

또한 강릉원주대 공무원노조와 대학노조도 "통합이 특정 대학의 일방적 흡수 방식으로 진행되서는 안 된다"며 "강원대는 지역 거점 국립대로서 책임감을 갖고 공정한 특례 기준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그래야 통합대학이 성공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