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광양시, '청년친화도시' 윤곽…청년 요구 1순위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지난 20일 열린 '광양시 청년친화도시 조성 기본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광양시 제공  지난 20일 열린 '광양시 청년친화도시 조성 기본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광양시 제공 
전남 광양시는 지난 20일 김정완 광양부시장 주재로 '광양시 청년친화도시 조성 기본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청년이 머무르고 참여하는 청년미래도시 광양'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용역 실태조사 결과, 광양 청년 인구는 40~45세가 38.7%로 가장 많았으며, 가장 필요한 생활안정 정책으로는 주거지원(36%), 광양 전입 사유로는 취업(7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광양을 떠나고 싶은 이유로는 더 나은 문화생활(24.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용역을 수행한 장현필 (재)한국자치경제연구원 본부장은 "광양에는 산업체 근로청년뿐 아니라 장애 청년 등 다양한 청년층이 존재하지만, 사회참여는 저조하고 행정 중심 정책에는 한계가 있다"며 "청년이 머물고 참여하는 미래도시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용역은 제2차 청년정책 5개년 계획(2026~2030) 수립을 위한 것으로, 보고회에는 관계부서장과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청년정책협의체, 청년마을 대표 등 18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남성 중심의 일자리 구조, 청년 역할 부재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그러면서 △청년 활동 공간 마련 △단기 거주 프로그램 및 공간 제공 △여성 청년 일자리 발굴 △사각지대 청년 바우처 지원 △문화·여가생활 보장 등 청년정책 전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광양시는 종합분석을 통해 제2차 청년정책의 핵심과제로 △광양청년 주권시대 확대 △산업청년 사회참여 강화 △매력적인 정주여건 조성 △미래형 일자리 창출 등을 도출했다.

이 비전을 구체화한 '제2차 광양시 청년정책 5개년 계획'은 △일자리 11개 △주거 8개 △교육 12개 △청년복지·문화 33개 △참여·권리 14개 등 총 5대 분야 78개 사업으로 구성됐으며, 이 중 24개는 신규사업이다.

김정완 부시장은 "제1차 5개년 계획 성과를 토대로, 제2차 계획에서는 청년이 광양시 정책의 중심에 서야 한다"며 "오늘 논의된 의견이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구체화될 수 있도록 용역 결과물에 적극 반영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광양시는 2026년부터 제2차 청년정책 5개년 계획에 따른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해,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