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포함한 유엔 회원국 44개국은 24일(현지시간)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약식 회견을 열었다. 주유엔 한국대표부 제공차지훈 주유엔대사는 24일(현지시간) 유엔 총회 인신매매 대응 고위급 회의 개최에 앞서, 온라인 스캠(사기) 등 기술을 이용한 인신매매 대응을 위한 국제공조를 촉구하는 내용의 언론발언문을 발표했다.
이날 발언문에는 한국과 일본, 유럽, 동남아시아 국가 등을 포함한 유엔 회원국 44개국이 참여했다.
앞서 20대 한국인 대학생이 캄보디아에서 범죄 조직원들에게 살해된 알려지면서 한국은 물론 아시아 지역에서 온라인 스캠 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된 바 있다.
이날 공동선언문에는 유럽국가는 물론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대거 참여했는데, 캄보디아 온라인 스캠 범죄와 관련해 한국인 구금 및 피살 사태를 겪은 한국이 공동성명을 주도한 것이다.
참가국들은 공동 언론발언문을 통해 "온라인 스캠 및 초국가 조직범죄와의 연계 등 기술을 이용한 인신매매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깊이 우려한다"며 "이런 범죄의 증가로 인도적 위기와 인권에 대한 우려가 심화됐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공조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들은 "디지털 플랫폼 등을 악용한 인신매매 범죄의 진화로부터 자유로운 국가는 없다"며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해 정부, 민간, 시민사회 등을 포함하는 지역적·전세계적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인신매매 대응을 위한 유엔 총회 고위급 회의는 인신매매 대응을 위한 글로벌 행동계획 이행 점검을 위해 2013년부터 4년마다 열리고 있다.
아날레나 배어복 유엔총회 의장은 이날 고위급 회의에서 "인신매매 가해자들은 이제 인공지능(AI) 도구, 암호화된 플랫폼, 딥페이크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며 "우리의 사법제도 틀도 기술 발전에 맞춰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