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북한, 7~8월 러시아에 추가 파병 가능성"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

"최근 북한내 파병 군인 선발 작업 착수"
"1천여만 발 포탄과 미사일·장사정포 등 무기 지원도"
"우크라, 7~8월 중 러시아 대공세 가능성 제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 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이 국회 정보위원회에 북한의 러시아 추가 파병 가능성과 무기 지원 실태에 대해 26일 보고했다.

이날 오후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국민의힘 간사 이성권 의원은 회의 종료 후 브리핑을 통해 "북한은 대러시아 파병, 무기 지원을 지속하고 있으며 쿠르스크 탈환 등 러시아 전쟁 수행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추가 파병의 시점은 우리 분석에 의하면 빠르면 7~8월에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북한은 러시아에 1만 2천 명 규모의 병력을 처음 파병한 데 이어, 이후 4천 명을 추가로 파견했다. 최근에는 쿠르스크 재건을 위한 공병·건설병 6천 명의 추가 투입이 러시아 측에서 발표된 바 있다.

국정원은 이 같은 추가 파병 시점에 대해 과거 1차 파병 당시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방북해 군사 파병 합의 1개월 뒤 병력 투입이 진행된 점, 최근 북한 내 파병 군인 모집을 위한 선발 작업에 들어간 점을 고려해 이같이 전망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무기 지원 실태도 공유됐다. 국정원은 북한이 선박과 군용기를 이용해 러시아에 포탄 1천여만  발과 함께 미사일, 장사정포 등 무기를 지원한 것으로 파악했다는 것이 이 의원의 설명이다.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러시아는 방공미사일, 전자 교란 장비, 우주 발사체 엔진과 드론, 미사일 유도 능력 개선 등 기술 자문을 제공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국정원은 보고했다.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해 국정원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남부 4개 주의 81%를 장악한 상태로, 이는 우크라이나 전체 영토의 약 20%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우크라이나의 정보 당국에 의하면 러시아 측이 7~8월에 대공세 감행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제기를 하고 있고, 우크라이나는 이에 맞서 러시아 본토 공군 기지 파견이라든지 또 국제사회 무기 지원 호소를 통한 국면 반전에 부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고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