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현 기자침식이 심각하거나 우려되는 경북 연안이 24개소로 파악됐다.
8일 경상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연안 침식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침식이 심각하거나 우려되는 C, D 등급은 전체 44개소의 54.5%인 24개로 확인됐다.
9년 전(80.5%)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들었고 1년 전 58.1%보다도 4.2% 감소한 수준이다.
연안 면적은 전년 대비 1915㎡ 감소했고 체적은 1만 1963㎥ 늘었다.
지역별로는 울진군과 울릉군의 침식 우심률이 증가했고 경주시와 영덕군은 감소했다. 포항시는 1년 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2022년 태풍 힌남노, 2023년 태풍 카눈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침식이 활발했던 경주와 영덕에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안 정비 사업의 지속 추진으로 침식 완화 효과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는 확보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침식 원인을 정밀 분석하고 지역 특성에 맞춘 방지 대책을 적용해 연안 정비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향후 해안선 후퇴 예측, 연안 안정성 평가에도 데이터를 활용할 방침이다.
경상북도 해양수산국 정상원 국장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는 연안 침식에 대한 선제 대응뿐 아니라 앞으로 '관리해안선' 제도 도입에 따른 기초자료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존의 콘크리트 중심 대응을 넘어서,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연안 관리 체계를 마련해 도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건강한 해안 공간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