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지난 1분기 가계 소득은 늘었지만, 소비와 아파트 입주 등이 줄면서 가계의 여윳돈이 분기 기준 최대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1분기 순자금 운용액은 92조 9천억원으로 집계됐다.
통계 편제 이후 최대 규모 증가로, 전분기(62조 6천억원)보다 30조원 이상 늘었다.
순자금 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해당 기간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값으로, 가계는 순자금 운용액이 양(+·순운용)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을 통해 순자금 운용액이 대체로 음(-·순조달)의 상태인 기업·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김용현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연초 상여금 유입 등으로 가계 소득이 증가한 가운데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 감소, 소비 둔화 등으로 여유 자금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의 1분기 자금 운용 규모(101조 2천억원)도 전 분기(71조 2천억원)보다 30조원 증가했다.
금융기관 예치금이 49조 7천억원 늘었고, 국내외 지분증권·투자펀드 운용액도 29조 3천억원 증가했다.
가계가 1분기 조달한 자금은 모두 8조 2천억원으로, 전 분기(8조 6천억원)보다 줄었다. 증권·카드사 등 기타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이 3조원 감소한 영향이 컸다.
1분기 말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9.4%로 나타났다. 여섯 분기 연속 하락세다.
김 팀장은 "올해 2분기는 서울 등 수도권 주택거래가 늘어 가계부채 증가 폭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소폭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1분기 비금융 법인기업의 순자금 조달 규모는 18조 7천억원으로 전 분기(16조 2천억원)와 비교해 2조 5천억원 증가했다. 대내외 경제 여건 악화로 투자 둔화가 계속됐지만, 상여금 지급 등 기업 운전자금 수요가 증가한 때문이다.
일반정부의 순자금 조달액도 전분기 3조 9천억원에서 40조 2천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정부 지출이 수입보다 더 크게 증가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