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을 맡았던 안철수 의원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혁신위원장을 사퇴하고 8월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하는 기자회견을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안철수 의원이 국민의힘 혁신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실질적 전권 보장"을 꼽으며 후임자도 전권을 갖기 힘들 것이라는 회의적인 전망을 내놨다.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수락 닷새만에 사퇴, 당 대표 출마에 나선 안 의원은 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저한테 전권을 안 주신 것을 보면 그 다음도 받기 힘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국민의힘은 신임 당혁신위원장으로 윤희숙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장을 임명했다.
안 의원은 혁신위원장 사퇴 배경으로 "비대위원장에게 최소한의 인적쇄신에 대한 약속을 받기 위해 주말 동안 만났지만 '곤란하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인선합의가 덜 끝난 상황에서 비대위가 발표를 했고, 합의되지 않은 사람도 있었다. 그래서 더 이상 혁신위원장을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결국 "수동적인 위치보다는 당 대표로 나가서 능동적으로 직접 혁신을 하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권을 부여 받았는지를 놓고 이견이 나오는 상황과 관련, 안 의원은 "전권이라는 단어를 명시하진 않았다"면서도 "비대위원장이 '최고 수준의 혁신을 하겠다, 뭐 든지 다하겠다'고 직접 말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혁신이라는 것 자체가 전권을 안 가지면 못하기 때문에 혁신위 자체에 전권을 주겠다는 것까지 다 포함이 돼 있다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한동훈 전 대표가 전당대회 안 나올 것으로 예상되자 출마를 선언한 것 아니냐는 일부 주장에 대해 "한동훈 전 대표가 이번에 출마해야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윤창원 기자 그는 "우리 당을 어떻게 혁신시킬 것인지 서로 안들을 내고 서로 경쟁을 해서 당원의 선택을 받자"라고 했다. 안 의원은 전날 김문수 전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후보와 한동훈 전 당대표에게 "전당대회에 함께 출마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안 의원이 인적쇄신 대상으로 지목한 권영세·권성동 의원이 강하게 반발한 것과 관련, "실명을 언급한 적은 없다"면서도 "정치적 책임이 큰 분들이 우선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단지도체제 부활 가능성과 관련해 "정말 콩가루 집안처럼 돼서 아무것도 협의가 안 된다"며 "현재 우리 당에서 필요한 게 개혁이라고 보면, 어차피 1인 지도 체제가 거기에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안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 시절 만들어진 당원투표 80%에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역선택 방지룰 적용) 룰에 대해서는 "책임당원 100%가 뽑게 하는 등, 예전으로 정상화시키는 일이 또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