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2040 도시기본계획 수립…세계·미래·세대를 잇는 초연결도시 구상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10+2 중심지 체계
320만 생활인구 메가시티 목표
TK신공항 중심 글로벌 허브 구축

대구시 제공대구시 제공
대구의 미래 도시공간 구조와 발전전략을 담은 2040 도시기본계획이 수립됐다.

대구시는 15일 기자 설명회를 갖고  2040 대구도시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군위 편입을 비롯해 TK신공항 건설과 군부대 이전에 따른 대규모 후적지 사업, 5극 3특 지역균형성장 국가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2040 도시기본계획의 핵심 가치는 '글로벌 허브, 미래산업 혁신, 삶의 질 향상'으로 이를 이루기 위해 미래상, 공간구조, 인구·개발가용지 등의 구상과 함께 9대 공간 전략을 제시했다.

주요 구상별 내용을 보면,우선 핵심 가치에 따른 2040년 대구의 미래상은 '세계·미래·세대를 잇는 초연결도시 대구'로 제시하고 이를 위한 목표로는 세계를 연결하는 관문도시,미래를 연결하는 활력도시,세대를 연결하는 매력도시로 설정했다.

공간 구조는 기존 도심, 동대구, 서대구, 안심, 성서, 칠곡, 뉴k2, 수성, 월배, 현풍 등 10개 중심지에서 새로 편입된 군위군 지역에 2개 중심지를 신설한  10+2 중심지 체계로 확대 개편했다.

이에 따라,TK신공항이 들어설 서군위에는 '글로벌 허브거점'을 신설해 경제·산업 특화를 통한 글로벌 신성장 기능을, 군위에는 '자연문화 레저거점'을 신설해 관광 및 친환경 레저의 중심지 역할을 부여했다.
 
또, 사통팔달 방사형의 발전축에 TK신공항에서 국가산단까지 이어지는 남북 방향의 '미래신성장축'을 신설하고, 비슬산에서 동군위까지는 '자연관광축'을 확장해 대구의 혁신과 균형을 도모했다.
 
인구와 개발 가용지 구상으로는 생활인구 320만의 메가시티를 목표로 설정하고 120㎢ 면적의 개발 가용지를 마련했다.

이와 함께,9대 공간전략에 따른 관문도시 구상을 위해 TK신공항 중심의 '글로벌 허브'와 동대구역-서대구역 중심의 '광역허브', 물리적 한계를 벗어나 주요 거점과 인접 지역,광역을 연결하는 신속 환승시스템인 모빌리티 허브를 구축한다.

활력 도시 전략으로 K2후적지, 수성알파시티 등 주요 산업거점을 연결해 AX전환 가속화와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新산업 엔진을 마련하고 도시를 살리는 도심 Big-Change,투자를 이끌기 위해 공간 혁신 구역과 규제프리존을 도입하는 규제혁신 New 경제벨트를 추진한다.

마지막 매력도시 전략을 위해  AI 기반 자족형 스마트 생활권 기반 마련과 K-culture 중심도시 도약을 위한 체류형 관광체계 구축,탄소중립 및 물과 녹음이 어우러지는 그린·블루 네트워크인 대구 Cool-Line을 조성한다.

대구시는 이번 도시기본계획(안)을 통해 미래 신산업이 성장할 공간적 기틀을 마련함으로써 기업투자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시민들의 일상이 더욱 편리해지고 문화 향유의 기회가 확대되며, 쾌적한 정주환경도 조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계획안은 오는 30일 시민 공청회를 시작으로, 시의회 의견청취, 시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 초 확정·공고할 예정이다.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현재 대구는 미래 공간혁신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에 서 있다"며 "구체적인 목표와 전략을 통해 미래를 선도적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계획을 통해 대구 핵심사업의 추진 기반을 마련함은 물론, 보다 품격 있고 잠재력을 가진 도시, 시민들이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