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력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거래 급감, 매물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대책 시행 이후 열흘간 서울 아파트 거래, 이전 열흘간 대비 80% 줄어…매물은 10% 감소

류영주 기자류영주 기자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부동산 시장이 급속하게 냉각되는 모습이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 첫날인 지난 16일부터 25일까지 열흘간 서울에서 매매계약이 체결된 아파트 거래량은 564건이다.

추석 연휴가 포함된 그 직전 열흘(6일부터 15일까지) 거래량 2679건과 비교하면 감소율이 무려 80%에 육박한다.

규제지역 적용으로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종전 70%에서 40%로 축소되고 '15억 원 초과, 25억 원 이하' 주담대 한도가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은 2억 원으로 차등 적용되는 등 대출 관련 규제가 크게 강화된 것이 대폭적인 거래 감소 요인으로 분석된다.

매물 감소세도 두드러졌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10·15 대책 시행 첫날인 지난 16일 7만 4044건에서 열흘 만인 지난 25일에는 6만 6647건으로 10% 줄었다.

토허제로 거래가 불가능해진 '갭투자' 매물이 회수된 데다가 기존 집을 팔고 대출을 받아 이른바 '상급지'로 갈아타려던 집주인들도 대출 규제로 계획을 접고 매물을 거둬들인 영향 등이 반영된 결과라는 설명이다.

정부가 10·15 대책에서 부동산 세제 개편을 예고해 보유세 인상 논의가 벌어지고 있고, 다주택자의 규제지역 내 주택 매도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가 내년 5월 종료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내년 상반기까지도 거래 위축이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례 없이 강력한 수요 억제책으로 거래를 묶어놓은 정부는 앞서 발표한 9·7 공급 대책의 후속 작업을 이어가며 시장에 '공급 시그널'을 주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