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상 최악의 전력 수급 난이 예고된 12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전력거래소에서 냉방기와 실내조명 모두를 끈 채 업무를 보고 있다. (윤성호 기자)
			사상 최악의 전력 수급 난이 예고된 12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전력거래소에서 냉방기와 실내조명 모두를 끈 채 업무를 보고 있다. (윤성호 기자)
		
	
	 
 
정부가 '블랙 아웃' 위기 속에 공공기관 냉방강제 중단까지 단행하는 등 절전 노력을 호소하는 가운데 시민들 대부분은 이를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전력 정책이 장기적인 대안 없이 국민에게만 짐을 지우는 주먹구구식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2일 밤 거리에서 만난 시민들은 공공기관 냉방 중단으로 한증막 같은 폭염을 견뎌야 하지만 일단은 정부 정책에 지지의 목소리를 냈다.
			
		
회사원 김종현(30) 씨는 "나라에서 한다면 따라야 한다"며 찬성 입장을 보였다.
부산에서 온 주부 김모(59·여) 씨는 "뉴스에서 전력난 소식이 전해지면 가슴이 찡해서 에어컨을 틀고 싶어도 못 튼다"면서 "나라가 어려운데 국민들이 모두 따라야 한다"고 적극 지지했다.
시민들은 화장실 불을 끄거나 전기 코드를 뽑는 등 각자 나름대로 전력 아끼기 운동에 동참하고 있었다.
	
		
			 서울 여의도에서 뜨겁게 달궈진 아스팔트 도로에 피어오른 아지랑이로 지나는 차량과 시민들이 아른거려 보인다. (자료사진)
			서울 여의도에서 뜨겁게 달궈진 아스팔트 도로에 피어오른 아지랑이로 지나는 차량과 시민들이 아른거려 보인다. (자료사진)
		
	
	 
 
주부 김 씨는 "집에서는 안 쓰는 전기 콘센트는 무조건 뺀다"면서 "식당에서 밥 먹을 때도 에어컨이 강하게 나오면 줄여달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대학생 주영웅(25) 씨는 "집에 있으면 웬만하면 불을 켜지 않는 방식으로 전력 아끼기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